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 [자료제공 = 사람인]코로나19가 생활 전반을 바꾸고, 기업 경영의 방식까지 바꾸고 있다. 근무 방식 등의 변화까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데 노동시간이 비교적 긴 편에 속하는 우리나라 직장인의 피로도는 줄었을까.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339명에게 ‘코로나19 이후 피로도’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 82.4%가 ‘피곤함을 더 느낀다’고 답했다. ‘기존보다 피곤하지 않다’는 17.6%에 그쳤다.
코로나19 이후 더 피곤한 이유는 심리적 이유가 컸는데, ‘사회적 불안감으로 그냥 몸이 피곤함’(46.9%, 복수응답)을 느끼는 이들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오래도록 지속된 방역조치로 인해 ‘규칙적인 운동 부족으로 면역력 약화’(31.2%), ‘외출 부족으로 우울해서’(30.7%)가 뒤를 이었다. 급격한 경제 침체로 인해 ‘코로나19로 경영위기 때문에 불안해서’(26.5%), ‘회사에서 처리할 일이 오히려 많아짐’(26%), ‘인원부족으로 무리한 업무량 요구’(22.5%) 등의 피곤함도 있었다.
이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으로 OECD 회원국의 평균 수면시간인 8시간보다 약 2시간이 적다. 평소 느끼는 피곤 지수는 1~10점 기준으로 10점이 가장 높은 피곤함이었을 때, 평균 7점으로 집계됐다. 상당한 피로감을 매일 느끼고 있는 셈이다.
직장인들이 피곤함을 느끼는 가장 큰 원인은 ‘장거리 출근길’(26.7%)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보수적인 조직문화’(20.2%), ‘상사와의 부딪힘’(11.1%), ‘직장 내 지나친 개인주의’(10.8%), ‘직장동료와의 갈등’(7.6%), ‘불필요한 야근 및 회식’(6.6%) 등이 있었다.
코로나19가 근무 방식을 바꾸면서 재택근무, 스마트 오피스 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근무방식의 변화가 피로도에 영향을 줄까.
전체 응답자의 70.8%가 ‘재택근무로 피곤함을 느낀적은 없다’고 답했다. 장거리 출퇴근이 피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재택근무로 인해 오히려 피곤함이 줄었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10명 중 3명 정도(29.2%)는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더 피곤하다고 느꼈는데, ‘근무공간과 개인공간 분리가 안 돼서’(51.7%, 복수응답)가 가장 큰 문제였다. 다음으로 ‘메신저 즉시 응답을 요구해 컴퓨터 앞을 떠날 수가 없어서’(35.3%), ‘쓸데없는 일일보고/업무보고가 더 늘어나서’(31.2%) 등이 상위에 올랐다.
한편,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휴식 유형은 ‘여행’(24.3%), ‘TV 시청(넷플릭스/웨이브 등)’(18.8%), ‘아무 것도 안 하는 것’(17.4%), ‘수면’(16.3%)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