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리아 알샤라 대통령에 “아내 몇 명?” 농담…백악관 회담 현장 영상 공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백악관에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아내가 몇 명이냐”는 농담을 던졌다.농담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고가 향수를 알샤라 대통령에게 직접 뿌리며 선물하라고 했다.알샤라 대통령은 손가락으로 ‘1’을 나타내며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현장 분위기는 농담 직후 일시적으로 가라앉았다고 영...
울산 동구, 겨울철 자연재난 대비 본격 가동 대설·한파 대응체계 강화
[뉴스21일간=임정훈]울산광역시 동구는 다가오는 겨울철을 맞아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대설과 한파로 인한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예측하기 어려운 기습 강설, 한파에 대비하기 위해 동구는 사전에 대응체계 강화와 현장 중심의 점검활동에 나섰다...
▲ [자료제공 = 사람인]IT직무가 아닌 일반직무에도 디지털 지식을 평가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코로나19로 전세계적으로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기업의 성장을 위해 구성원의 디지털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280개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평가’에 대해 조사했다.
응답 기업의 65%가 기업 경영과 사업전략에 있어 ‘디지털 기술 반영 비중이 커진다’고 답했다. 이에 기업 10곳 중 4곳에서 IT 직무가 아닌 일반직 채용에서도 ‘디지털 지식을 채용평가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디지털 지식을 채용 평가에 반영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직무에 디지털 기술을 반영하고 있어서’(58.9%, 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중요한 역량 중 하나라고 생각해서’(34.8%),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어서’(30.4%),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이해하는게 중요해서’(24.1%)의 이유가 있었다.
디지털 역량 평가 방식은 ‘디지털 툴, 프로그램 사용 여부 확인’(59.8%, 복수응답)의 가벼운 것이 많았고, ‘디지털 용어 등 상식 평가’(37.5%), ‘전문지식, 기술 습득 확인’(24.1%) 순이었다.
실제로 디지털 기술 직무 채용 비중도 늘었다. 응답 기업의 47.5%가 ‘디지털 인재 수요가 늘었다’고 답했으며, ‘디지털 기술 활용이 필요한 업무가 증가해서’(67.7%, 복수응답), ‘회사가 속한 산업 경향 변화에 맞추기 위해’(33.1%), ‘신사업을 위한 인재 확보’(26.3%) 등이 원인이었다.
제도 운영을 통해 디지털 역량 강화를 시도하는 기업은 59.3%로 절반 이상이었다. 주로 ‘기존 직원 재교육 실시’(72.3%, 복수응답)를 했으며, 그 외 ‘필수적으로 내부 교육 과정 개설’(22.3%), ‘신설팀 증설로 디지털 업무 지원’(18.1%) 등을 하고 있었다.
한편 기업들이 최근 채용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지원자의 역량 1위는 ‘문제해결능력’(28.2%)이었다. 계속해서 ‘성실성’(24.3%), ‘책임감’(20%), ‘소통능력’(15.7%)이 주요 역량으로 꼽혔고, ‘열정’(3.6%), ‘창의력’(2.9%), ‘도전정신’(2.1%) 등은 소수에 그쳤다.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인재상이 변화했다는 기업은 전체 응답기업의 23.6%였다. 바뀐 방향성은 ‘직무 역량 중시’(47%, 복수응답), ‘상호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시’(40.9%), ‘자율과 책임 강조’(27.3%), ‘융복합적 사고력’(27.3%)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