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일하며 함께 웃다, 제22회 인천자활한마당 성료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1월 7일 인천대공원 어울큰마당에서 인천 자활인들의 축제 ‘제22회 인천 자활한마당’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유정복 시장을 비롯해 관내 11개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와 종사자, 자활기업 관계자 등 1,600여 명이 참가했다.올해로 22회를 맞는 인천자활한마당은 인천광역자활센터(센터장 조부...
▲ 사진=이인영 통일부 장관 / 연합뉴스국내·외에 거주하는 이산가족의 80% 이상이 북한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9일 발표한 '3차 남북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에 살고 있는 이산가족 찾기 신청 생존자 4만 7004명 중 표본으로 뽑힌 535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 가운데 82%는 아직 북한 가족 생사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생사를 확인했다고 답한 응답자(18%) 가운데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50.8%는 민간교류를 주선한 단체나 개인에 의뢰해 북한 가족 생사를 알게 됐다. 당국 차원 교류 대상자로 참여하면서 알게 된 경우는 24.4%에 그쳤다.
하지만 교류 주체별 선호도를 물었을 때 당국 차원 교류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93.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민간 교류를 희망한다는 응답은 6.3%에 그쳤다.
그 이유로는 생사 확인 결과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56.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인과 북한 가족 신변 안전이 보장된다(26.1%)는 점과 교류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이 없다(13.0%)는 점도 당국 차원 교류를 선호하는 이유로 꼽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기대수명의 차이를 생각하면 사실상 대면상봉은 지금부터 5년 정도”라며 “북한도 절박한 심정으로 이산가족 문제를 바라봐주길 바란다”며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