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일하며 함께 웃다, 제22회 인천자활한마당 성료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1월 7일 인천대공원 어울큰마당에서 인천 자활인들의 축제 ‘제22회 인천 자활한마당’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유정복 시장을 비롯해 관내 11개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와 종사자, 자활기업 관계자 등 1,600여 명이 참가했다.올해로 22회를 맞는 인천자활한마당은 인천광역자활센터(센터장 조부...
▲ 사진=노동신문북한이 연초 대대적인 식량 증산 운동을 벌이는 가운데, 농사에 필요한 퇴비 생산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퇴비 패스’를 꺼내든 것으로 알려졌다. 퇴비 과제를 수행한 인원만 시장 출입을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함경북도 청진시에서는 영농 준비를 위해 새해 여성들에게 3일에 한 번씩 1인당 300kg의 분토 과제를 수행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대북매체 데일리NK는 북한 여성들이 분토 300kg을 바치라는 시당의 요구를 수행하기 위해 추운 겨울 새벽마다 변소칸을 찾아다니며 고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 여성들은 가족들의 인분을 창고에 보관하며 분토를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목표량을 채우기엔 턱없이 부족해 연탄재에 물을 버무려 바치고 있다. 농장에서는 오히려 농사에 도움이 안 되는 지시라며 불만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소식통은 “모든 과제가 여성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내려지고 있다”면서 “여성들은 내 가족도 먹여 살려야 하고 나랏일도 해야 하니 여성으로 태어난 것이 죄라고 한탄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