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018년 일부 갱도를 폭파한 풍계리 핵실험장을 여전히 점검·유지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올리 하이노넨 미국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미국의 소리(VOA)와 인터뷰에서 최근 위성사진을 근거로 "차량 동행 흔적과 제설 작업 등으로 미뤄볼 때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을 일정 조건으로 유지 중"이라고 분석했다고 VOA가 24일 전했다.
이 같은 동향에 대해 그는 “단순한 모니터링 이상의 활동으로 보인다”면서 “많은 사람이 오가는 것은 아니지만 몇몇 건물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는 4개의 갱도가 있는데 1번 갱도는 1차 핵실험 뒤 폐쇄됐으며, 2번 갱도에서 2~6차 핵실험이 이뤄졌다는 게 VOA 측 설명이다. 3~4번 갱도의 경우 2번 갱도보다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사용되지 않은 채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북한이 파괴되지 않은 일부 갱도를 추가 핵실험에 이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폭파 당시 갱도의 가장 안쪽을 포함해 전체를 다 폭파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핵실험장 재사용 시) 무너진 갱도 입구를 재건하는 대신 새 입구를 뚫어 파괴되지 않았던 갱도로 연결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북한이 풍계리에서 당장 추가 핵실험에 나서긴 어려울 것으로 봤다. 그는 “과거 실시한 강력한 핵실험의 영향으로 주변 바위와 산이 훼손됐을 가능성이 큰 만큼 추가 핵실험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면서 “만약 추가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중국이 불만을 표출할 수 있고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잡혀 있어 곧바로 실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 입장에서는 중국에서 가깝고 6차 핵실험으로 크게 훼손된 풍계리 핵실험장이 아니라 다른 장소를 물색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며 "(풍계리가 아닌) 새 핵실험장 건설엔 시간이 걸리겠지만,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직후부터 이미 공사에 착수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