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안전보안관,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 및 화재예방 캠페인 실시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구청장 김종훈)는 동구 안전보안관(대표 고이곤)과 함께 11월 6일 오전 10시 전하2동 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동구생활안전체험센터의 ‘찾아가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체험하고 동울산종합시장 일원에서 동절기 대비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동구는 동절기 급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
▲ 사진=광주광역시차세대 국가주력 산업으로 손꼽히는 이차전지(배터리) 분야의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산·학·연·관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2일 오후 평동산단에 위치한 세방리튬배터리㈜에서 산‧학‧연‧관 11개 기관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를 준비하는 차세대배터리 기술확보 및 지역 산업 활성화’를 주제로 현장 정책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발제에 나선 우중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장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는 높은 확률은 아니지만 이번 카카오 먹통 사태를 빚은 데이터센터 화재와 같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성능·저가화·안전성을 강화한 차세대배터리 개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에는 배터리 소재에 의한 자원자립이 문제가 될 수 있어 다각도로 연구해야 한다”면서 “배터리팩 생산 기업, 부품업체 등을 발굴·육성해 지역에서 유기적 협업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조성하는 방법도 단기간에 지역 산업화를 이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후 참석자들은 지역 배터리산업 생태계 구축하고 차세대배터리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이차전지 시장 및 연구개발(R&D) 동향’을 중심으로 광주시가 나아갈 방향 등에 논의했다. 이와 함께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차세대배터리 개발, 전문인력 육성, 연구개발(R&D) 및 지역 기업간 협력 강화(트랙레코드) 등의 의견이 제안됐다.
강 시장은 “광주에 온 기업이 혁신제품을 만들고, 만들어진 제품이 실증되고 생산될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많은 고민을 하고 있고 최선을 다해 지원방안을 찾겠다”며 “기술혁신과 생태계 구축을 통한 차세대배터리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데 힘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논의에 앞서 김대웅 세방리튬배터리㈜ 대표이사의 안내에 따라 공장 생산라인을 살펴보기도 했다.
세방리튬배터리㈜는 1500억 원을 투자해 지난해 10월 준공된 리튬이온배터리 제품 조립생산 전문기업으로 가동 1년 만에 지역에서 180명을 고용했으며 올해 380억 원의 매출이 전망되는 등 지역 이차전지 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광주 대표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