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제기한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 의혹에 대해, 외교부가 오늘(11일) “러-북간 무기 거래 정황에 대해 우려를 갖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 기자들과 만나 “미국 등 주요 우방국과도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로 북한과의 무기 거래는 금지돼 있다며 “우리 정부는 안보리 결의의 철저한 이행으로 북한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북한의 제재 회피를 차단하는 한편, 모든 유엔 회원국들의 충실한 결의 이행을 견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9월 초부터 러시아가 탄약과 포탄 등 무기 구매를 위해 북한과 접촉하고 있다는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북·러 양측은 무기 거래는 없었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북한은 특히 이달 8일 북한 국방성 군사대외사업국 부국장 명의 담화에서 “러시아와 무기거래를 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미국이 무근거한(근거 없는) 무기거래설을 계속 여론화하며 이를 기정사실화 해보려 책동하고 있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은 러시아 측과의 접촉 여부에 대해선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북한이 군복을 제작해 러시아에 보내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관련 언론 보도를 인지하고 있다”며 “북한의 섬유 수출은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로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