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2025년 기술보급확산지원을 위한 여주명품 참외 심포지엄 성황리 개최
여주시(시장 이충우)에서는 11월 5일(수) 이포권역행복센터 대회의실에서 “2025년 여주참외 명품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참외 재배 농업인,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해 기후변화 대응과 토양관리 기술을 공유하며 농업 현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행사에서는 여주지역...
▲ 사진=대전광역시대전시는 청년들이 직접 청년 문제를 고민하고 청년 정책을 제안하는 소통·공론·합의 플랫폼“청년제안”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대전청년포털(https://www.daejeonyouthportal.kr)’에 마련한“청년제안”은 지난해 10월 구축한 뒤 12월까지 약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쳐 정식 운영을 개시하게 되었다.
시범운영 기간 중 12건의 정책 제안이 접수되었고, 이중 가장 많은 공감 의견을 받은 ‘청년 주거계약 원스톱 서비스 운영 사업’이 숙의토론 안건으로 선정되었다.
이어‘대전청년정책네트워크’ 회원들이 타 지자체 사례 등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청년 전문가들이 지난달 6일 숙의토론에 참여하여 정책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서가 수용 여부를 검토하였고, 현재 ‘청년제안’-‘결과보기’에서 토론 내용과 검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하는 청년제안은 ▲청년제안 및 토론 ▲사전조사 ▲숙의토론 ▲결과공개(부서 답변)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온라인 플랫폼에 청년이 스스로 겪고 있는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해 제안하고 다른 청년들의 댓글과 공감을 통해 의견 청취한다. 제안 후 30일 동안 20명 이상 댓글 참여를 받은 제안에 대해 대청넷 회원들이 숙의 토론을 위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어 대청넷, 제안관련 전문가, 담당공무원 등 참여하여 정책의 필요성과 추진 방법 등에 대해 숙의 토론을 진행하고, 숙의토론 결과 및 제안사항에 대한 검토부서의 답변(제안 수용 및 추진계획 등)을 공개한다.
본격 운영이 시작되는 올해에는 분기마다 숙의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며, 숙의 토론에 참석을 희망하는 청년은 누구나 토론에 참석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대전시 민동희 복지국장은 “청년제안 플랫폼을 통해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하며, 시에서도 정책 반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