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법이 발표되자, 피해자들은 2015년 일본군 위안부 합의보다도 후퇴한 '굴욕 해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서울 시청 광장에 모인 4백여 명의 시민들은 본 전범 기업의 직접 배상과 사죄가 빠진 정부 해법은 무효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인 아흔다섯 살 양금덕 할머니도 다시 거리로 나왔다.
피해자 측 요구가 빠진 해법이 일본에는 면죄부, 한국 외교에는 치욕이라고 비판했다.
피해자 대리인단은 2015년 위안부 합의보다도 후퇴한 굴욕적 해법이라고 비판했다.
피해자 15명 가운데 생존해 있는 3명은 모두 정부 해법에 반대하는데도, 고령의 피해자를 위했다는 정부 설명은 잘못된 거라고 지적했다.
정부 해법에 동의 의사를 밝힌 피해자 4명에 대해서는 배상금 지급과 함께 채권 소멸 절차가 진행된다.
정부 안을 거부하는 피해자들은 전범기업으로부터 배상을 받기 위한 법적 절차를 이어갈 계획이다.
피해자 양금덕, 김성주 할머니는 오늘 국회 앞 기자회견에 참석해 직접 반대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