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은 우리의 생존과 국익뿐 아니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직결된 문제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오늘(5일) 외교·안보 분야 현안을 논의하는 ‘제2차 국정과제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외교·안보는 우리 민생과도 직결된다며 이 같이 말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국정과 외교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며 “복합위기를 맞아 공급망을 강화하고 첨단기술 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국가의 미래가 걸려있다”고 했다.
이어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안보와 경제는 물론, 첨단 과학기술 협력이 패키지로 이뤄지는 상황”이라며, 한미일 협력 강화를 비롯한 이른바 ‘가치 동맹’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세계적 복합위기와 북핵 위협을 비롯한 엄혹한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미일 3국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한미동맹을 군사안보 동맹을 넘어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강화하고, 한일관계를 정상화했다”고 밝혔다.
또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제시했고, 사우디, UAE(아랍에미리트)와의 경제안보 협력을 한 단계 도약시켰으며, 모든 정상외교에서 실질적 성과와 이익을 만들어내도록 ‘세일즈 외교’를 전방위적으로 펼쳤다”고 그간의 성과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정부의 모든 외교의 중심은 경제”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 원전, 반도체, 공급망 분야의 실질 협력을 강화하고 수출 성과를 이뤄내는 데 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 위협에 대비해서는 “동맹의 확장억제 능력을 강화하고, ‘한국형 3축 체계’를 보강해야 한다”며 “북한의 어떤 위협에도 싸워 이길 수 있도록 확고한 대적관과 군기를 확립하고, 실전 훈련으로 전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정부가 북한 인권보고서를 최초로 공개했는데, 북한 주민의 처참한 인권 유린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게 매우 중요하다, 북한인권법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제2차 국정과제 점검회의는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이 질의를 하고 윤 대통령과 관계 장관 등이 답변하는 형식으로, 외교와 통일, 국방, 보훈 등 4가지 주제로 나눠 진행됐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