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중간 보고서가 공개된 가운데, 정부가 “우리 바다와 수산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빈틈없는 관리·통제 시스템을 지속해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재차 밝혔다.
총리실은 오늘(6일) IAEA의 일본 원전 오염수 모니터링 중간 보고서 관련 참고 자료에서, 우리 정부도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종합 분석을 진행 중이라며 이 같이 전했다.
총리실은 “우리 정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일본의 오염수 해양배출 계획 전반에 대해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자료와 심사 내용, 일본과의 질의·답변, IAEA 확증 모니터링 결과 등을 바탕으로 과학적·기술적 종합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총리실은 또 “정부는 후쿠시마 주변 8개 현에 대한 모든 수산물의 수입 금지 등 일본산 식품 수입규제를 지속 유지하고 있고, 국내 해역에서 생산되는 전 품종을 대상으로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항만과 연안, 원근해의 해수·해양생물·해저 퇴적물에 대한 방사능 모니터링을 계속 확대해 왔으며, 모니터링 결과는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원전 사고 지역 인근 2개 현에서 선박 평형수를 적재한 선박에 대해서는 공해상에서 교환하도록 하고, 미교환 선박에 대해서는 방사능 오염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고, 인근 4개 현의 선박도 표본조사를 해 방사능 오염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 같은 설명은 최근 한일정상회담 관련 일본 수산물 수입규제와 원전 오염수 배출 문제가 정치권에서 논란이 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총리실은 “2011년 이후 우리 원근해에 대한 방사능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우리 해역의 해양환경과 수산물의 방사능 농도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일본의 오염수 문제에 대해 최선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