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11월의 장성 역사 인물’ 추담 김우급 선생 선정
장성군이 ‘11월의 장성 역사 인물’로 조선 중기 학자 추담 김우급(1574~1643) 선생을 선정했다.추담 선생은 황룡면 황룡마을 출신으로, 청년 시절이던 1597년 정유재란 당시 조선을 침략해 백성들을 괴롭히는 명나라 장군과 군인들을 꾸짖었던 일화가 유명하다.1612년 소과에 급제하며 벼슬길에 올랐지만, 1618년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출한 사...
▲ 사진=성북문화재단성북문화재단(대표 한재헌)은 관내 대학들과 연계한 ‘지역대학협력사업’이 대학과 지역사회를 하나의 건강한 공동체로 성장시키는데 있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성북문화재단은 관내 대학들과 연계한 ‘지역대학협력사업’을 통해 대학생들이 지역과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지역을 학교의 범주에서 벗어나 생활권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활동 및 정책들과 마주하는 계기로서 인식돼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성북구는 지난해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돼 ‘삶과 문화의 순환도시, 성북’을 기치로 다채로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관내 대학들과의 협력을 이어가는 기회로 삼고 있다.
2023년 1학기에만 성북구 관내 4개 대학교(국민대, 동덕여대, 서경대, 성신여대)의 학생 200여명이 ‘지역대학협력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성북구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정책사업인 ‘길음청년창업거리’와 ‘청년창업실험공간 공업사’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다.
또한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과 청년살이발전소 등 지역의 문화시설을 직접 탐방해 문화정책의 현장 이야기를 듣고, 청년문간의 이문수 신부, 성북청년시민회 등 지역 안에서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멘토들도 만나고 있다.
이 같은 성북문화재단의 ‘지역대학협력사업’은 일회성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이 아니다. 앞으로 재단은 관내 대학들의 공통교과 과정을 활용해 서로 다른 대학의 학생들이 지역 안에서 건강한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를 통해 대학과 지역의 건강한 상생 모델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성북문화재단은 학생들이 지역을 단순한 거주지가 아닌 삶의 한 부분으로 느끼고, 성북에 정주할 수 있도록 참여 대학의 교수들과 함께 커리큘럼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며, 관내 대학생들이 성북 안에서 함께할 수 있도록 관련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