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5월 우주항공청 개청을 목표로 본격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11일) ‘우주항공청 설립 관련 법률 국회 통과’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우주항공청은 우주 정책과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과기정통부 산하 조직으로, 올해 5월 개청이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5월까지 시행령안과 조직 운영을 위한 인사, 조직, 사업관리 등 관련 규정 30여 건을 마련하고, 신규 조직 구성안을 만들어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하기로 했다.
또, 과기부와 산업부 등에 쪼개져 있는 우주항공 분야 업무와 사업 등에 대한 조직과 예산을 우주항공청으로 이관하고,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이관하기 위한 절차도 진행한다.
인력은 300여 명으로 구성할 예정인데, 이 중 200여 명이 연구 인력이다.
연구인력은 임기제 공무원으로, 민간 전문가와 국내외 인재를 초빙·추천받아 채용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할 계획이다.
일반직 공무원도 전입과 공채, 경력 채용을 통해 충원하기로 했다.
상반기 안에 임시 청사를 마련해 개청 즉시 근무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으로 우수한 전문 인력이 정착 할 수 있도록 정주 여건 지원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우주항공청의 올해 총예산은 8,0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오늘 브리핑에서 “우주항공청 개청과 동시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청에 필요한 사항을 철저히 점검하고 준비하겠다.”라고 설명했다.
또, “우주항공청 설립은 2032년 달 착륙, 광복 100주년인 2045년 화성 탐사를 통해 글로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위대한 발걸음의 시작”이라며 “우주항공 산업 활성화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주항공 기업을 2,000개 이상 육성하고, 50만 개에 달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라며, “정부의 우주항공 투자 규모도 대폭 확대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