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 개설… “한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직격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를 개설했다.기존 ‘이낙연 TV’ 외에 새 채널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이 고문은 “인생·사회·국가·세계의 미래를 함께 공부하고 사유하겠다”고 취지를 밝혔다.그는 일주일에 1~2회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
울주군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 심폐소생술 교육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보건소가 11일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예방 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외부 전문 강사를 초청해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법,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

2021년 9월 이후 2천만 원 이하를 연체한 사람은 약 290만 명이다.
이 중 250만 명은 돈을 모두 갚았지만 연체 이력이 남아 신용 점수가 내려갔고 금융 거래에 불이익을 받게 됐다.
이들의 연체 이력을 삭제해 신용회복을 지원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이미 연체액을 다 갚은 250만 명은 연체 기록이 사라지고, 아직 갚지 않았더라도 5월 말까지 갚으면 역시 기록을 없앨 수 있다.
이번 조치로 대상자의 신용점수가 평균 39점 오르고, 25만 명은 은행권에서 신규 대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덕적 해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금융당국 설명은 다르다.
신용이 회복된 사람들의 연체율을 2년 동안 지켜봤더니 사면 대상이 아닌 경우보다 연체율이 떨어졌다는 거다.
다만 연체 없이 돈을 갚은 사람은 혜택이 없다는 점 때문에 형평성 논란이 나온다.
지난 정부 신용 사면에서도 반복됐던 논란이다.
선거를 앞두고 발표되는 게 적절한 지도 의견이 갈린다.
신용회복 지원은 전산 시스템 구축 등을 거쳐 이르면 3월 초부터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