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지시각으로 30일 워싱턴DC 인근 미 국방부(펜타곤)에서 제56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가 열린다.
SCM은 동맹인 한국과 미국의 주요 군사정책 협의·조정 기구로, 실무급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나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등에서 논의해온 군사 정책을 양국 국방부 장관이 만나 최종적으로 보고받고 현안에 대응하는 자리이다.
매년 한국과 미국에서 번갈아 개최되며, 올해 미국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김용현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참석한다.
김 장관은 지난달 취임 이후 오스틴 장관과 처음 대면하게 된다.
SCM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 등 한미동맹 관련 군사정책을 다루지만, 올해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으로 인한 글로벌 안보 정세 대응이 주요 현안으로 부각된 상황이다.
한국 대통령실이 이미 우크라이나를 위한 공격용 무기 지원 가능성까지 열어둔 만큼, SCM을 통해 한미가 한층 강화된 대북·대러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러시아로 대규모 지상군을 파병한다는 소식은 지난 18일 국가정보원에 의해 처음 확인됐고, 그 규모는 1만 명 수준으로 파악됐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 28일 "북한이 훈련을 위해 러시아 동부 지역에 약 1만 명을 파견했으며, (그들이) 향후 수주 간 우크라이나 가까이서 러시아의 무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북한 군인이 전장에 투입된다면 합법적 공격 대상"이라고 경고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쇄도하는 국제적 비난에 말을 맞춰 공동 대응을 꾀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SCM 이후 결과물로 나오는 공동성명에 담길 대응과 표현 수위에 따라 한미가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처하는 방향의 윤곽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한미 국방•외교 수장이 함께 참여하는 제6차 한미 외교·국방(2+2) 장관회의도 SCM 다음날인 31일 미 워싱턴DC에서 개최된다.
한미 2+2 회의 개최는 2021년 한국에서 열린 뒤 3년 만이다.
2+2 회의에서도 북한의 러시아 파병이라는 최대 현안과 북한의 도발 행위 등이 의제로 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