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안전보안관,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 및 화재예방 캠페인 실시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구청장 김종훈)는 동구 안전보안관(대표 고이곤)과 함께 11월 6일 오전 10시 전하2동 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동구생활안전체험센터의 ‘찾아가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체험하고 동울산종합시장 일원에서 동절기 대비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동구는 동절기 급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중국 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 눈에 띄는 사용자의 키보드 패턴을 수집한다는 내용.
쉽게 말해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속도나 압력 같은 걸 모은다는 건데, 챗GPT는 수집하지 않는 정보다.
우리는 느끼지 못하지만 사람마다 글자나 숫자를 입력할 때 키보드를 누르는 속도와 압력 등이 다르다.
일종의 고유 정보인 셈이다.
그러니까, 인공지능이 수많은 사람들의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면 마치 지문이나 홍채로 신원을 확인하듯 그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있다는 뜻도 된다.
딥시크가 키보드 패턴까지 수집하는 건, 개인 보안 정보를 모으는 것과 다름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논란의 또 다른 축은 중국 당국이 원하면 언제든지 이런 민감한 정보들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걱정이다.
미국이 중국 SNS 플랫폼인 '틱톡'에 대해 사용금지를 추진한 것도 같은 이유다.
이런 우려에 기름을 부은 건 중국의 법체계 때문이다.
딥시크가 모은 정보는 중국 서버에 저장되는데,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내세우면서 정보를 얼마든지 수집할 수 있도록 법에 돼 있다.
우리 정부도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실태를 파악하고 나섰다.
개인정보보호 위원회가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이나 처리방식에 대해 공식 질의서를 보냈지만, 아직 답변은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