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4월 11일(금), 도등록문화유산 2건을 처음으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등록은 강원지역 근현대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것으로, ‘설악산 구 희운각대피소’와 ‘강릉 주문진성당’이 그 주인공이다.
○ 산악 탐방 문화의 상징, ‘설악산 구 희운각대피소’
- 1969년 건립된 희운각대피소는 설악산 주요 등산로가 모이는 해발 1,065m 산등성이에 위치한다. 설악산은 국내외 탐방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산이지만, 날씨 변화가 심해 희운각대피소는 중요한 휴식처로 기능해 왔다.
- 특히 이 대피소는 설악산에 원형을 유지하며 남아 있는 마지막 민간 차원의 대피시설로, 이후 국가 주도의 대피소 건립에 큰 영향을 미친 유산으로 평가된다. 건립 당시의 건축기술과 지역 여건을 반영한 단순한 구조가 특징이며, 설악산국립공원 탐방 문화의 기틀을 마련한 역사적 의미가 있다.
○ 지역 천주교 전파의 중심지, ‘강릉 주문진성당’
- 주문진성당은 영동지역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본당으로, 1923년 설립 이후 지역사회와 상생하며 천주교 전파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해왔다.
- 1955년에 완공된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지만, 여전히 당시의 건축적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1950년대 건축기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종교시설로, 강원지역 천주교의 역사적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 이번 도등록문화유산 등록은 제도 시행(2019. 12. 25.) 이후 강원지역에서 처음 이뤄진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도내에는 잘 알려진 ‘철원 노동당사’와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등 54건의 국가등록문화유산이 있다. 이들 유산은 대부분 도등록문화유산 제도가 만들어지기 전에 등록된 것들이다.
○ 등록문화유산은 지정문화유산이 아닌 문화유산 중, 만들어진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해 조치가 필요한 근현대문화유산을 말한다. 지정문화유산과 달리 주변 개발 규제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 도등록문화유산과 등록과 함께 ‘동해 삼화사 지화장엄’도 도무형유산으로 지정된다. 삼화사 수륙재(국가무형유산)를 비롯한 불교 의례에 사용되는 지화장엄은 지역 공동체에서 체계적으로 전승돼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 이로써 강원특별자치도는 모두 737건(국가지정 212건, 도지정 469건, 등록 56건)의 국가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 김광철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체육국장은 “첫 도등록문화유산 등록은 근현대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과 활용을 위한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강원지역의 역사문화 고유성을 담은 국가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그 가치를 미래 세대에 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