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 문학과 대안근대성』은 단순한 작가론을 넘어, 염상섭의 문학을 통해 한국문학이 품었던 근대에 대한 질문, 그리고 세계 문학의 경계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대안근대성(altermodernity)’은 서구 중심의 발전 서사를 해체하고, 주변부 사회에서 나타나는 독자적 역사 인식과 문화 실천을 재구성하는 개념이다. 저자는 염상섭의 문학이 바로 이러한 ‘비주류 근대성’의 가능성을 실천해낸 귀중한 지식 자산임을 강조한다. 특히 3·1운동 이후의 사회적 변동 속에서 염상섭은 문학을 통해 민족주의와 계급운동, 제국과 식민 사이의 복합적 현실을 끊임없이 성찰했다.
이 책은 염상섭을 단지 ‘초기 근대 소설가’가 아닌, 시대와 사유를 가로지른 문학적 실천가로 재위치시키는 데 주안점을 둔다. 문학이 단순한 창작이나 미학적 대상이 아니라, 당대 현실에 참여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사유의 장이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문학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