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안전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출하전 자체 잔류농약검사시스템을 구축, 부적격 농산물의 시장 유입을 차단키로 했다. 전남도는 18일 친환경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도내 생산자단체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50개소에 자체 잔류농약검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잔류농약검사를 포함한 농산물 안전성조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출하전 농산물에 대해 각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유통중인 농산물에 대해 일부 시료를 채취해 표본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친환경농산물이 시장에 출하되기 전 생산자단체 등이 자체 잔류농약검사를 한번더 실시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이고, 보다 더 안전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전남도내에는 순천농산물도매시장, 광양원예농협, 장성 학사농장, 담양 황금작목반, 장흥 용산친환경작목반 등 총 7개소에서 자체 잔류농약검사시스템을 갖춰 출하전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중 담양군 수북면 황금작목반(대표 박종근)은 지난 5월 구입한 잔류농약검출기를 활용해 상추, 깻잎, 토마토 등 20여종의 채소 전량에 대해 출하전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후 한국생협연대, 풀무원, 급식학교 등에 납품하는 등 유통업체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내년에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유기농전문단지 등의 사업비를 이용해 생산자단체,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50개소에 잔류농약검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며 자체 운영사례도 적극 발굴 홍보해 생산자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구축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생산자단체 등은 자체 잔류농약검사를 통해 부적격농산물로 판명된 농산물과 대상 농업인이 생산한 전체 농산물에 대해서도 소비자 신뢰확보 차원에서 출하 제한 등의 자체 처벌기준을 마련 처리토록 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1차적으로 생산자단체에서 자체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고, 2차는 각 지자체에서, 그리고 3차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무작위 표본조사를 실시하는 등 검사구조가 크게 강화돼 부적격 농산물이 시장에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문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이제는 생산자단체에서도 스스로 소비자가 믿을 수 있는 친환경농산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노력을 해야 된다”며 “앞으로는 친환경농산물 생산농업인 의식교육 등 다양한 소비자 신뢰확보 대책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일선 시군 등에서도 내년도 예산을 확보해 친환경 의심단지, 인증기준 위반 신고단지 등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조사를 실시해 부적격 농산물로 판명된 단지에 대해서는 보조지원 제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인증취소 통보 등의 강력한 제재조치를 취하도록 권장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