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약수터와 샘터의 30%가량이 세균 등으로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올 7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약수터 등 먹는 물 공동시설 천 6백여 곳에 대해 수질검사를 한 결과, 전체의 30%인 천 350건이 수질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먹는 물로 부적합 약수터 대부분은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등의 미생물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해당 지자체들은 수질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기준치를 초과한 시설에 대해서는 사용을 중지하거나 폐쇄하는 등의 개선 조치를 내렸다.
환경부는 올 상반기에는 기준초과율이 14에서 16%로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여름 들어 비가 자주 와 약수터로 동물 분변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돼 3분기의 초과율이 높게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환경부는 먹는 물 공동시설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관리대상과 방법을 강화하는 내용의 먹는 물 관리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