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건강검진 결과 우리나라 성인 3명 가운데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08년도 건강검진 수검자 988만명 가운데 체질량지수(BMI) 25.0이상인 비만자는 324만명으로, 비만자 비율이 32.8%로 분석됐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비만자 비율은 지난 2006년 29.7%였으나 2008년에는 32.8%로 2년만에 3.0%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자 324만명중 체질량지수가 25.0이상 ~ 30.0미만인 1단계 비만자는 277만명이었고 2단계(30.0~40.0미만)비만자는 45만명이었으며 3단계(40.0이상)비만자도 2만3,500명에 달했다.
남성의 비만자 비율은 38.1%로서 여성의 비만자 비율 25.9%보다 1.5배 가량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울산동구가 42.7%로 비만자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양구군과 인제군(41.9%), 안동시와 영월시(41.1%)순이었으며 비만자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거창군(27.7%), 진주시(27.9%), 울산북구(28.1%)등이었다.
최근 남성 비만이 증가하는 원인은 과도한 음주와 운동 부족스트레스때문이라고 건강보험공단은 설명했다.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최영은 교수는 "특히 음주가 복부 비만의 위험을 높이고 있으며 만성적인 스트레스 또한 식욕을 증가시켜 과식과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비만 예방을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잘하기와 적절한 수면 섭취,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식사, 활동적인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며 비만이 단기간에 완치되는 것이 아닌 평생 잘 관리하여야 하는 성인병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