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 10일 국립생물자원관과 업무협약…고유 자원 발굴·연구 활성화 기대-
전남지역 도서·연안의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해 전라남도와 국립생물자원관이 손을 맞잡았다.
전남도는 10일 오전 도청 정약용실에서 국가 생물자원 보전·관리 중추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종천)과 상호 협력을 통해 도서·연안지역 등 호남권의 고유한 생물자원의 체계적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호남의 도서 및 연안지역은 희귀생물과 기록되지 않은 종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며 특히 전남은 도서가 1천964개소(전국의 62%), 자연생태계가 우수한 특정도서가 65개(전국의 40%)로 생물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또한 신안장도습지, 무안 갯벌, 진도 갯벌 등 호남권 도서지역에 형성된 습지는 생명력이 매우 풍부해 각종 무척추동물과 어류, 조류의 서식지이며 식물이 밀생하거나 다양한 종이 생식활동을 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 대한 고유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발굴·보전·관리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라남도와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날 협약을 통해 호남권 고유 생물자원의 발굴 및 보전과 생물자원의 특성을 이용한 증식, 생물자원 산업화를 위한 정보 교류 등을 위해 상호 협력체계를 강화키로 했다.
이인곤 전남도 해양수산환경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호남권 고유 생물자원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지역 생물상을 잘 알고 있는 해당 지자체·연구기관·대학 등과 연계함으로써 생물자원관의 현지 수장고 역할 및 연구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도는 목포시와 함께 다도해 섬·연안 생태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보존 가치가 우수한 지역 생물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12월까지 3개월간 ‘찾아가는 국립생물자원관 특별기획전’을 목포시 자연사박물관에서 개최하고 있다.
특별기획전에는 국립생물자원관의 습지 생물표본 소장물과 전남의 서남해안에서 직접 채집한 표본 등이 전시되고 전문가 학술 심포지움이 개최되는 등 생물자원 보전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