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과학관(관장 李銀雨)과 한국환경생태학회(회장 권태호)는 오는 10월 27~28일 사이에 대전 대덕 연구단지에 위치한 국립중앙과학관( 창의나래관)에서 '국토 보호지역의 성찰과 미래 심포지엄'과 '2011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를 이틀에 걸쳐 개최한다.
※ 한국환경생태학회는 1987년에 창립하여 한반도의 생태계 관리 및 환경보전, 환경교육, 생태계 복원을 통해 국토 및 지구환경개선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와 정책을 제안하는 국내에서 가장 큰 학회임
□ 27일 개최하는 '국토 보호지역의 성찰과 미래 심포지엄'은 (사)한국환경생태학회, 녹색연합, 한국보호지역포럼이 주최하고,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이 처한 제도 및 정책적 현안과 국제적 보호기준의 적용 그리고 관리 주체로서 지역 주민의 참여 등에 대해서 관련 정부기관, 전문가, NGOs, 지자체가 모여서 문제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개최한다. 기조 강연으로서 서울시립대학교의 이경재 교수는 '자연 보호지역과 4.0 자본주의', IUCN아시아지역사무소의 허학영 박사는 '보호지역 지정과 관리의 세계적 동향'에 대해서 발표할 예정이다.
□ 심포지엄은 크게 3개의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는 '보호지역의 국가정책과 정책방향'으로서 우리나라의 주요 보호지역을 담당하는 산림청(류광수, 산림보호국장)과 환경부(백규석, 자연보전국장)의 보호지역 현안과 정책방향을 발표 및 논의할 예정이다. 두 번째 주제는 '보호지역의 이용과 주민의 역할'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인 순천만의 사례(최덕림,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 사무국장)와 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이용방향(조우, 상지대학교 교수)에 대해서 발표와 논의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보호지역의 미래비젼'은 보호지역의 개발과 보전을 성찰(서재철, 녹색연합 국장)하고, 앞으로 미래지향형 관리 및 운영방향(김동필, 부산대학교 교수)을 발표 및 논의할 예정이다.
□ (사)한국환경생태학회의 학술발표회는 '자연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산림치유의 현재와 미래(박범진, 충남대학교 교수), 숲 생태교육의 전망(한광용, 나를 만나는 숲 연구담당)에 대한 특별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 학술논문발표회는 포스터와 구두 발표로 총 3~4개 분과(식물, 동물 및 기타, 녹지관리, 도시녹화 및 녹색휴양, 식생 및 생태복원)로 나눠 진행되며, 총 48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식물분야는 외래식물 연구, 보호지역의 식생 연구 등의 13편이 발표되며, 권오정·오충현의 '기후변화 적응종의 범위 설정 연구'처럼 최근의 기후변화가 식물의 분포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어 서울 지역에서 중남부 또는 남부 수종의 식재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 동물 및 기타분야는 법정보호종과 서식환경과 관련한 연구 등 총 14편이 발표되며, 최근 하천개발로 인한 생태계 훼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승현 등의 '양화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 연구와 같이 하천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어류 군집 차이를 규명하여 앞으로 하천의 생태계 관리에 적용가능성이 높은 연구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 녹지관리와 식생 및 생태복원 분야는 도시림, 마을숲, 보호수, 생태경관지역, 국립공원의 식생 구조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 및 관리방향을 제시하는 14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특히 곽정인의 '서울시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 및 생태적 천이 경향 연구'는 고밀도의 서울시 도시림의 입지 특성에 따라 식생 특성을 분석하고, 시간에 따른 식생 구조의 천이 경향과 도시림의 문제점을 규명하는 논문으로서 발표될 예정이다.
□ 도시녹화 및 녹색휴양 분야는 총 7편의 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며, 기존의 도시림 활용에 있어서 학교숲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금번 학회에서는 학교 부지의 도시텃밭에 대한 연구도 포함되어 있다. 장진·오충현의 '수도권지역 스쿨팜 유형특성 연구'로서 향후 도시텃밭의 학교체험학습 형태로서 발전하기 위한 유형분류 연구가 발표될 예정이다.
□ 논문발표회에 이어 논문발표회 종합평가 및 우수논문발표상과 저술상 등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환경생태학회 사무국(02-412-5328, 010-2273-6138, 기경석박사)으로 문의하면 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