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경 택 행복전도사
어느새 10월도 중순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시간은 어찌 그리 잘도 가는지. 요즘같이 향기롭고 아름다운 시간은 잡을 수만 있다면 꼭 잡아 두고 싶다.
우리 마을은 요즘 국화 향 천지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미당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라는 시를 읊조리지 않아도 한 송이 꽃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수많은 과정을 거쳐 왔는지 우리는 잘 안다.
봄부터 정성을 기울여 여름내 순 따주고 물주고 길러 온 따뜻한 손길과 보이지 않는 정성들. 올해 유난스레 잦았던 폭우를 견뎌 낸 자랑스러운 놈들이 피워낸 꽃이라서 그런 것일까? 향기가 얼마나 진한지 수북수북 밀려오는 향에 취해 하루 종일 발걸음 흔들리고 마음까지 술렁인다.
대국에게는 화려함을, 소국에게는 진한 향을, 잎 주변에 노란 띠를 받은 국화에게는 꽃은 구슬 만하게 그렇게 다 주지 않고, 고루 평등하게 나눠 준 것이라던 어떤 교장 선생님의 말씀이 추억으로 떠오르는 계절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많은 말을 하고 산다.
그러나 입에서 나온다고 다 말은 아니다. 말에는 언제나 책임이 따른다. 또한 말에는 메아리 효과가 있다. 자신이 한 말이 자신에게는 물론 상대방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말을 할 때 어떤 씨앗을 뿌릴 건가를 생각해야 한다.
이왕 하는 말이라면 좀 광나는 말을 하고 살자. 광(光)나는 말 하니까 생각나는 이야기가 있다.
예전에 굿뉴스(따뜻한 이야기)에서 만난 주례사에 눈물까지 글썽 감동받은 적이 있다. 신랑 집안의 반대가 엄청나서 결혼에 이르기까지는 마치 한 편의 연애 소설을 방불케 할 정도로 사연이 많은 결혼식 주례사를 맡은 분이 머리카락 몇 올 남지 않아 잘 닦아 놓은 자개장처럼 반짝이는 대머리로 주례사를 시작하였다.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될 때까지 서로 사랑하는 것도 좋지만, 검은 머리가 저처럼 대머리가 될 때까지 변함없이 서로 사랑하는 것도 좋습니다. 제 대머리를 한문으로 딱 한 자로 표현하면 빛 광, 즉 광(光)이라고 할 수 있지요. 신랑 신부가 백년해로 하려면 광나는 말을 아끼지 말고 해주어야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인간의 세 치 혀입니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예의를 지키라고 했습니다. 부부라고 해도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여보, 사랑해. 당신이 최고야!’라는 등의 光(광)나는 말은 검은 머리가 대머리가 될 때까지 계속해도 좋을 것입니다.
” 가을의 깊이와 함께 그윽한 국화향이 아름다운 이 계절에 주위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말을 해보자. 가정에서는 남편에게 아내에게 자식에게 광(光)나는 말을 아끼지 말고, 직장에서는 상사나 부하, 동료에게 피곤함을 씻어주고 새 힘을 얻게 하는 말을 하자.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제 각각 아름다운 모습으로 피어나기를 고대하며 따뜻하고 광(光)나는 말로 격려하고 많이많이 칭찬해 주자. 정다운 인사 한마디가 하루를 멋지게 열어준다. “사랑해.” “고마워.” “미안해.” “잘했어.” “넌 항상 믿음직해.” “넌 잘 될 거야!” “네가 곁에 있어서 참 좋아.”짧지만 이런 한마디 말이 하루를 빛나게 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법이다.
그리고 마음이라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말을 하지 않는 것도 지혜다. 가을에는 열매만 거두는 계절이 아니라, 내가 뿌린 말의 열매도 함께 거둔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상황과 때에 맞는 말을 하도록 하자. 말 한마디에 따라 천국과 지옥이 갈라진다는 것, 깊이 명심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