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기업 10곳 중 7곳은 창업 후 5년 안에 문을 닫는다는 집계가 나왔다.
특히 1인 기업은 2년 뒤 살아남은 개수가 절반밖에 되지 않았고 5년 후에는 10개 중 생존기업이 3개밖에 달하지 않았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기업생멸 행정통계 결과'에 의하면 작년 기준 우리나라 신생기업의 평균 생존율은 창업 1년 후 61.3%, 2년 후 48.4%로 드러났다. 3년 후에는 40.1%, 4년 후에는 35.1%, 5년 후에는 29.6%만이 생존, 즉 3년 뒤에는 10개 신생기업 중 4개가, 5년 뒤에는 3개만 생존한 셈이다.
1인 기업의 경우의 생존율은 더욱 낮았다. 1인 기업의 1년 후 생존율은 60%, 5년 뒤에는 28.3%였다.
5년 후 생존율을 업종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보건·사회복지(46.6%), 부동산·임대업(46.5%), 운수업(42.3%) 순으로 생존율이 높았다.
반면 예술·스포츠·여가(13.7%), 숙박·음식점업(17.7%)은 생존율이 낮았다.
지난해 신생기업수는 77만개로 2012년(80만9000개)보다 3만9000개 줄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1인 기업(89.9%)이 2인 이상의 기업(10.1%)에 비해 많았고 종사자수는 127만5000명으로 전년 보다 2000명 늘었다. 신생기업은 도·소매업(28.4%), 숙박·음식점업(20.1%)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