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식품부 이준원 차관보가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상황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배상익 선임기자 |  | 
경기 화성 시화호와 충남 부여 등으로 번지면서 특히 오리에 이어 닭도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사실상 전국이 AI 영향권에 들어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시화호에서 수거된 철새의 분변을 검사한 결과,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이준원 차관보 이날 "종전에 신고된 전북 고창·부안 발생 지역 반경 3㎞ 이내의 닭을 살처분하기로 했다"며 "향후 AI가 확인되면 발생 지역 반경 500m에서 오리와 닭을 모두 살처분하고, 고병원성 여부가 확인되면 반경 3㎞ 이내에서 예방적 살처분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주말을 계기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영향권이 충남·전남·경기 지역 등으로 확대되자 방역 당국이 가금류 170여만 마리를 추가 살처분하기로 한 것이다. 
이전까지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이 나와야 발생 지역 반경 3㎞ 이내에서 오리를 대상으로만 살처분을 실시해 왔다. 
이처럼 살처분 조치가 강화된 것은 충남 부여에서 처음으로 닭의 AI 감염 사례가 확인 된데다 AI 영향권이 전북에서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어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달 24일부터 26일까지 ▲충남 부여 ▲전북 부안 ▲전남 해남 ▲전남 나주 ▲전남 영암 ▲충남 천안 등 모두 6곳의 농장에서 AI 의심 신고가 접수됐고 충남 부여의 닭은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까지 전국에서 AI 의심 신고가 접수된 농가는 모두 10곳이다. 방역 당국은 1~5차 신고 지역 인근 35개 농가에서 현재까지 48만8000마리를 살처분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긴급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해 "전남 해남과 충남 부여, 경기 시화호 지역에서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고병원성 AI가 확산할 우려가 있다"며 "농식품부 장관은 직접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는 등 '원스톱 비상체제'를 가동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전국 단위의 '일시 이동중지(Standstill)' 명령 발령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