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안철수 신당 창당소식이 정치권을 강타했다. 민주당의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의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전격 합당을 선언한 것이다. 두 사람은 2017년 정권교체와 새정치를 위해 고심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양측은 3월 중 통합신당을 출범시키고 6·4 지방선거를 통합신당의 이름으로 치를 예정이라고 한다.
양당의 통합을 위한 물밑 작업은 그야말로 전광석화처럼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지난 달 28일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결정한 뒤 이를 안 위원장에게 전하며 통합을 제안했고 두 사람은 이튿날인 1일 두 차례 회동을 거쳐 2일 새벽 0시40분께 최종적으로 ‘제3지대 신당’을 창당해 지방선거 전에 통합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측의 합의는 기존의 3자 구도로 지방선거에 나설 경우 야권의 분열로 참패를 면하기 어렵다는 현실론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양측의 경쟁이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안기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고 안 위원장도 독자노선을 고수하다가는 자칫 야권 분열의 책임론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부담감이 컸다.
신당은 양측이 5대5의 지분으로 참여해 창당준비단을 구성한 뒤 정강정책 등 신당 창당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양측의 내부논의를 거쳐 신당에 합류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게 될 듯하다. 제3지대에 신당을 창당해두고 민주당은 그대로 신당과 ‘당 대 당’의 합당 절차를 밟게 되며 아직 당의 틀을 갖추지 않은 새정치연합은 개별적으로 신당에 입당하는 형식을 취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의 신당 창당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이 문제다. 새 정치를 부르짖으며 국민들의 관심을 받아온 안철수의 새정치연합이 과연 지속적으로 지지를 얻을 수 있느냐의 문제에 봉착하게 된 것이다.
현재 안 위원장이 민주당과 합당키로 하면서 그의 ‘정치’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안위원장이 금과옥조처럼 주장해온 ‘새정치’가 결국 ‘합당’이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새정치’는 안 위원장이 정치권 입문의 전제조건으로 앞세우며 실현하는데 정치생명을 내걸었다는 식의 행보를 보여 상당한 지지를 받아왔다. 때문에 그가 추진해온 새정당 명칭에도 ‘새정치’를 넣었을 정도다.
정당을 갖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지지율은 여당을 압박하는 것은 물론 제1 야당인 민주당을 추월하는 파괴력을 보여왔다. 그러나 민주당과의 합당 선언이 기존 정치행태와 과연 무엇이 다르냐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뚜렷한 이유나 근거도 없이 오직 ‘정치적 목적’만을 위해 정당간 ‘합종연횡’, ‘연대’ 등을 자행해왔던 구태정치들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전모 정치인은 능구렁이가 아나콘다를 먹은 꼴 이라고 비아냥 거렸다. 한심한 정치라고..
어쨌거나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의 합당 선언의 결과는 하나로 귀결된다. 많은 국민의 지적처럼 그동안 ‘새정치, 새정치’ 하면서 그토록 부르짖고 다녔던 안 위원장에게는 정작 ‘새정치’라는 것이 전혀 실체가 없는 공허한 메아리였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명해 보이는 꼴이 되었고, 오직 이해타산에 따른 정치적 유불리만 계산하고 있었음을 스스로 고백한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이다.
혹자는 “그동안 안 위원장이 혹자의 지적처럼 국민을 철저하게 속여 왔음이 확실히 판명이 난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불과 엊그제만 해도 “새정치연합 사람들은 창당은 예정대로 한다, 야권연대는 없다, 전국에 걸쳐 광역단체장 후보자를 반드시 낸다”는 말을 하고 다녔다. 따라서 안 위원장은 새정치연합을 지지한 당 지지자들만 속인 게 아니라 전 국민까지 속인 희대의 사기꾼으로 전락할 신세에 직면했다. 그동안 안 위원장이 새정치를 하겠다는 말만 철썩 같이 믿고 그를 지지했던 지지자들의 흥분된 댓글이 인터넷을 도배하는 것만 봐도 그들이 받은 충격의 강도가 어떠했는지 짐작이 간다.
어쨌거나 지방선거가 얼마남지 않은 상황에서 민주당이나 새정치연합이 어려운 결정을 하기까지는 그만큼 자신들의 어떤 절박감이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새정치에 대한 국민의 열망, 그 열망을 향한 어떤 여론의 흐름 같은 것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창당 과정에서 양측이 어떤 모습을 보여 주느냐 그리고 좀 더 구체적인 어떤 비전과 실천을 보여주느냐 이것이 관건이 될 것 같다.
- 2014.03.03 편집인 이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