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2014년 제주 대표 수출상품으로 (주)대진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션”과 (주)오션스타의 “건해삼”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청정 제주의 이미지와 걸 맞는 무공해 산업이면서 미래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문화콘텐츠 산업이라는 점과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고용창출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건해삼”은 수출신장률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부가가치 창출과 시장 확대 가능성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제주 대표 수출상품 발굴·육성사업은 제주를 대표하는 수출상품을 발굴, 집중 육성함으로써 제주지역의 수출을 선도하고 고용창출 등 소득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수출진흥 시책으로 지난해에는 5개의 품목을 선정한 바 있다.  
※ ‘13년도 제주 대표 수출상품 현황 
- 공모선정 : 초콜릿(제키스), 백합(제이제이에프), 찐톳(태림상사) 
- 지정 : 제주광어(제주어류양식수협), 삼다수(제주개발공사)  
올해에는 지난 2월에 사업계획을 공고한 결과 5개 업체가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였고, 한국생산성본부 등 도외 전문가 5명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서류심사와 함께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생산시설 확인 및 질의 답변과정 등을 거쳐 사업계획의 타당성을 심층적으로 검토한 후 대표상품을 최종 선정하였다.  
제주 대표 수출상품으로 선정된 업체에 대해서는 ‘제주 대표 수출상품 인증서’가 수여되고 매년 1억 한도로 3년간 재정지원을 하게 된다.  
한편, 지난해 제주 대표 수출상품으로 선정된 3개 품목(업체)에 대해 추진상황을 평가한 결과, 수출실적은 다소 목표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용창출, 투자계획은 대부분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실적이 미흡한 이유는 3개 품목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엔저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특히, “백합”의 경우 2012년에 비해 수출물량은 150%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금액은 감소하였다.  
관련 업체에서는 이와 같이 한 지역에 집중된 수출시장의 문제점을 인식,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지난해 홍콩, 대만, 러시아, 미주시장 등 대체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한 결과, 일부 성과도 나타나고 있어 2014년도에는 수출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난해 선정된 업체 중 중소기업청에서 선정하는 수출유망 중소기업에 선정되는가 하면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상표 출원을 추진하는 등 대표상품 발굴·육성 효과가 점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수출진흥본부장(김성도)은 제주 대표 수출상품을 2017년까지 20개 품목을 선정하여 육성할 계획이며 이들 제품들이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