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동구,‘구민화합한마당 대축제’ 구민과 함께 성황리 마무리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제23회 구민화합한마당 대축제가 10월 25일(토) 오후 1시 30분부터 대왕암공원 일대에서 많은 구민의 참여와 성원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올해 축제는 ‘동구와 함께, 희망을 노래하다. 동구동락 희망동락’을 주제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구민 참여형 축제로 마련돼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축제는 오...
온 가족이 모여 정을 나누는 명절이지만, 취업에 성공하지 못해 자신감을 잃은 구직자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시간이기도 하다. 특히 말 한마디가 상처를 줄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하는데, 실제로 구직자들이 듣기 싫어하는 말은 어떤 유형일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588명을 대상으로 ‘추석에 가장 듣기 싫은 말’을 설문한 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요즘 뭐하고 지내?’와 같이 근황을 캐는 듯한 말(33.7%)이 차지했다. 취업이 늦어지고 있어 스트레스가 극심한 가운데, 명절에 만나는 사람마다 반복하듯 근황을 물어보는 것은 이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기 마련이다.
2위는 ‘취업은 했어?’라며 직접적으로 취업 여부를 묻는 말(18%)을 선택했다. 취업에 성공했다면 질문을 받기도 전에 말했을 것이다. 누구보다도 취업에 대한 간절함과 조급함이 큰 구직자에게 굳이 취업여부를 확인하지 않는 것도 센스 있는 배려다.
구직자들은 ‘올해 안에는 가능하니? 어떡할 건데?’라며 취업을 재촉하는 말(10.4%)에도 민감해 하고 있었다. 걱정해주는 의도였더라도 상대가 다그치는 듯한 말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 ‘누구는 어디 합격했더라’ 등 남과 비교하는 말(8.5%), ▲ ‘받아주는 데는 있어? 일단 어디든 들어가’라는 등 무시하는 말(7.1%), ▲ ‘부모님 고생 좀 그만 시켜’라며 부모님을 들먹이는 말(6.1%), ▲ ‘쉬니까 살만 찌지, 자기관리 좀 해’라는 식으로 외모 등을 지적하는 말(6.1%) 등을 듣기 싫다고 밝혔다.
또, 구직자 10명 중 7명(73.1%)은 추석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79.3%)이 ‘남성’(69.5%)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다.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로는 ‘취업을 하지 못해 내세울 게 없어서’(57.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지출할 곳은 많은 데 버는 돈이 없어서’(50.9%), ‘어른들의 잔소리, 눈칫밥이 걱정되어서’(41.9%), ‘내가 백수라 부모님이 위축될 것 같아서’(36.3%), ‘주위의 과도한 관심이 부담되어서’(27.4%), ‘제사음식 준비 등 일할 생각에 힘들어서’(11.4%)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