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찾는 사람이 되라. 세상이 야속하다고 하지 말고, 세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사람이 되라.” 에머슨이 한 말인데 필자는 이 문장을 무척 좋아한다. 그래서 가끔 강의를 나갈 때 조직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라고 강조한다. 필자 생각에 대부분 조직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첫째, 반드시 있어야 하는 사람 둘째, 있으나마나 한 사람 셋째,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사람이 그렇다. 원래 조직이란 꼭 있어야 하는 사람을 원하는 집단이다.
인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조직이라면 있어서 안 되는 사람은 가차 없이 버리는 법이다. 일견 야속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이게 바로 조직의 생리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떻게 하던지 미래의 트렌드를 읽으려고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면 결국 조직에서 퇴출당하고 말 것이다. 아무리 성격이 좋고 사람이 괜찮다 한들, 일을 못하면 ‘말짱 도루묵’이다.
학생의 본분이 ‘공부’라면 직장생활에서 기본은 ‘업무처리’가 아니겠는가? 직장 방침대로 일을 수월하게 처리하고 자기 할 일을 척척 알아서 해낸다면 기본기가 충분한 사람이기 때문에 조직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항상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조직의 생리를 수시로 파악할 줄 아는 눈을 가져야 한다.
전문가들의 말을 빌리면 ‘1-49-300’의 법칙이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9·11 테러 같은 하나의 대형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49차례의 작은 사건들이 있었고, 그 전에 무려 300회의 사소한 징후가 있었다 것이다. 무려 349회의 크고 작은 징후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한 셈이다. 이 세상 어느 일도 갑자기 일어나는 일은 없다. 그게 인재라면 더더욱 그렇다. 다만 본인들이 눈치를 채지 못할 뿐이다. 무슨 일이든 그렇겠지만 일이 벌어진 뒤에 후회해봐야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런 감각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면 자고로 늘 깨어있어야 하며 항상 스스로에게 질문 던지는 버릇을 길들여야 한다.
특히 요즘처럼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시대에는 더더욱 그렇다. 세상에 영원한 승자 없는 법이고 또 영원한 패자도 없는 법이다. 다만 있다고 한다면 누가 더 깨어 있는가 하는 것뿐이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하는데 이제는 이 말을 “반드시 하겠다”라고 바꿀 필요가 있다. 조직은 “Do your best.”가 아니라 “Do your excellent”를 원하기 때문이다. 조직이 원하는 것은 최선이 아닌 최고의 성과다.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 속에는 ‘되든 안 되든 해보는 데까지 해보겠다’는 의미이지만, 좀 더 부정적으로 말하면 상황이 안 좋아 일이 성사되지 못하더라도 내 책임은 아니라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즉, 빠져나갈 구멍을 미리 만들어놓겠다는 것인데, 이건 프로들의 자세가 아니다.
프로는 어떤 경우라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지 않고 “반드시 해내겠다”고 말하는 법이다. 그리고 반드시 조직의 소모품이 되지 말고, 엔진이 되어야 한다. 날마다 반복되는 일과 속에 묻혀 안정적인 것에 만족하며 안주하는 직원은 자동차의 소모품과 같은 존재다. 소모품은 일정 기간 지나면 교체해야하지만 엔진은 다르다. 조직 내에서 끊임없이 아이디어와 동력을 이끌어 내는 사람이 바로 엔진과 같은 사람이다. 세상은 내가 원하는 대로 돌려주는 인과법칙에 의해 움직이는 데 이를 가리켜 사필귀정이라고 한다. 우주는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 움직이지만 조직은 능력 있는 직원에 의해 움직이는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