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캄보디아 의료관광객 유치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메디시티 대구 의료관광 홍보센터'(Medi-City Daegu Medical Infomation Center)가 캄보디아의 수도이자 인구 200만 명이 살고 있는 정치․경제의 중심지인 프놈펜시 중심가에서 10월 30일 개소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연창 대구시 경제부시장, 정순천 대구시의회 부의장과 박진미 파티마병원장, 최원석 V성형외과 원장 등 지역 의료관광 관계자들이 참석해 우수한 대구의 의료기술 및 인프라를 소개하고, 대구시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표명할 예정이다.
대구시와 캄보디아와의 인연은 2011년 캄보디아 부총리 일행이 대구시를 방문하여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MOU(양해 각서)를 체결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이후 의료관광 선도의료기관인 ‘파티마 병원’과 ‘브이 성형외과’가 의료봉사, 의료진 연수 등 나눔의료 활동은 물론 ‘메디컬 센터’도 현지에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교류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캄보디아 훈센 총리의 여동생인 훈시낫 여사(현 캄보디아 감사원 차관)는 건강검진을 비롯한 대구의 의료기술을 직접 체험한 이후, 대구의료관광 홍보대사로 적극 활동하고 있다. 캄보디아 현지 고위급 인사 60여 명을 대구로 보냈을 뿐만 아니라 이번에 설립되는 ‘메디시티 대구 의료관광 홍보센터’에도 행정적 지원 등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한편, 이번 센터의 경우 현지인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기존의 홍보센터들과 달리 훈시낫 여사의 경제 자문관을 맡고 있는 지역 출신의 기업가 박경원 씨가 직접 운영하여 지역 의료기관과의 소통과 협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200제곱미터 규모에 안내데스크, 회의실, 사무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5명의 운영인력이 성형․모발이식․피부 등 뷰티관리, 각종 암․건강검진 위주로 상담 및 홍보활동을 펼쳐 현지 의료관광객을 대구로 송출할 계획이다.
캄보디아는 1,5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나 열악한 의료수준으로 연간 70만 명이 의료 서비스를 받으러 싱가포르나 태국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번 홍보센터를 통해 안심하고 믿을 수 있는 대구의료 기술과 서비스를 알림으로써 보다 많은 의료관광객이 대구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방문 기간 동안에는 홍보센터 개소식과 더불어 캄보디아 정부 관료와 상류층을 초청한 대구 의료관광 홍보․설명회를 개최하고, 국회․방송국․국립병원 등 기관도 방문해『메디시티 대구』의 우수한 의료기술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대구시 김연창 경제부시장은 “캄보디아와의 오랜 인연의 결실로 맺어진 이번 센터를 통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하여 메디시티 대구를 널리 알리고 보다 많은 의료관광객들이 대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면서 “앞으로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캐나다 등 홍보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대구의료관광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2026 울산 후기 일반고 입학전형 설명회 열어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2026학년도 울산광역시 후기 일반고등학교 입학 전형 요강 학부모 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고 고입 정보를 안내했다.       30일 울산과학관 빅뱅홀에서 열린 설명회에는 중학교 3학년 학부모와 교육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울산...
                            2026 울산 후기 일반고 입학전형 설명회 열어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2026학년도 울산광역시 후기 일반고등학교 입학 전형 요강 학부모 설명회(이하 설명회)’를 열고 고입 정보를 안내했다.       30일 울산과학관 빅뱅홀에서 열린 설명회에는 중학교 3학년 학부모와 교육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울산...
                    
                 울산교육청, 친환경 청사 만들기 전 직원 동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30일 오전 8시부터 청사 정문과 후문, 1층 중앙 현관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청사 만들기 홍보 활동(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행사는 기후 위기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교육청의 친환경 정책에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도록 독...
                            울산교육청, 친환경 청사 만들기 전 직원 동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30일 오전 8시부터 청사 정문과 후문, 1층 중앙 현관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청사 만들기 홍보 활동(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행사는 기후 위기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는 교육청의 친환경 정책에 모든 직원이 함께 참여하도록 독...
                    
                 중문색달 해변
                        
                        진모살 사빈 뒤편은 주상 절리의 해안 단애로 되어 있으며, 해수욕장과의 사이에는 20여m 높이의 사구층이 발달되어 있다. 바다에서 운반된 모래가 해안 단애에 막혀 사구층이 높게 형성되었다. 사구의 기저부에서 정상부까지는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어 강한 에너지에 의해 절벽 기저부까지 모래가 이동되고 있다. 해수욕장 동쪽 끝에 우...
                            중문색달 해변
                        
                        진모살 사빈 뒤편은 주상 절리의 해안 단애로 되어 있으며, 해수욕장과의 사이에는 20여m 높이의 사구층이 발달되어 있다. 바다에서 운반된 모래가 해안 단애에 막혀 사구층이 높게 형성되었다. 사구의 기저부에서 정상부까지는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어 강한 에너지에 의해 절벽 기저부까지 모래가 이동되고 있다. 해수욕장 동쪽 끝에 우...
                    
                 120억 들여지은 경기 도서관
                        
                        기록은 인간의 지식과 지혜, 정보를 후대에 전달해주기 위해 존재한다. 특히 권력자, 통치, 외교, 군사, 종교 등과 관련된 기록은 공적인 필요성에 의해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문서와 자료들을 오래 보전하기 위해 도서관이 생겨났다. 도서관을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장소로만 한정짓는다면, 그 기원은 문자의 사용 시.
                            120억 들여지은 경기 도서관
                        
                        기록은 인간의 지식과 지혜, 정보를 후대에 전달해주기 위해 존재한다. 특히 권력자, 통치, 외교, 군사, 종교 등과 관련된 기록은 공적인 필요성에 의해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문서와 자료들을 오래 보전하기 위해 도서관이 생겨났다. 도서관을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장소로만 한정짓는다면, 그 기원은 문자의 사용 시.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