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
자기소개서 작성 시 어떤 단어로 표현하느냐가 지원자의 인상을 결정짓는 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한 단어 선택이 중요하다. 특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는 기업이 부정적으로 보는 단어들을 골라내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이 비호감으로 판단하는 키워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에서 비호감 인상을 심어주는 키워드’를 조사한 결과, ‘급한’이 42.9%(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예를 들어서 ‘성격이 급한 편’이라고 표현한다면, 합리적이지 못하고 충동적인 성향이라는 인상을 같이 심어줄 수 있다. 이때는 ‘의사결정을 신속하거나 민첩하게 한다’는 등 보다 긍정적인 의미를 함축한 단어를 선택해야 한다.
계속해서 ‘운이 좋은’(33.3%), ‘타고난’(24.3%)이 각각 2, 3위에 올랐다. 운이나 재능 같은 선천적 요소도 필요하지만, 후천적인 열정과 노력을 더해 성장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는 기업이 더 많기 때문이다.
이밖에 ‘완벽주의의’(22.4%), ‘낙천적인’(21.4%), ‘성과지향적인’(17.1%), ‘가족중심의’(15.7%), ‘최고의’(15.7%), ‘타협적인’(15.2%), ‘과감한’(14.3%), ‘원칙주의의’(14.3%), ‘착한’(14.3%) 등도 사용하기에 따라 비호감 인상을 남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감이 가는 키워드로는 ‘책임감 있는’(54.8%,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원활한 조직 운영을 위해서는 자신의 포지션에서 책임감을 갖고 행동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 만큼 평가 시에도 중요하게 보고 있었다.
다음으로 ‘성실한’(47.6%), ‘긍정적인’(46.7%), ‘적극적인’(34.8%), ‘열정적인’(26.2%), ‘예의 바른’(23.8%), ‘정직한’(22.4%), ‘도전적인’(21.9%), ‘협동적인’(18.6%), ‘소통하는’(18.1%) 등을 호감 키워드로 선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