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진 도지사는 3월 19일(목) 삼락농정 “제값 받는 농업” 실현을 위해 우리 도 수출 전략 품목인 파프리카 생산현장에서 토마토 재배농가, 가공식품 수출업체, 바이어, 관계기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전라북도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주제로 대책 회의를 가졌다.
이번 대책 회의는 최근 3년간(‘12~‘14년) 엔저 등의 영향으로전라북도 농식품 수출액이 1억 8천만불에서 정체되어 있어, 농식품 수출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수출농산물 생산 현장에서 긴급히 개최 되었다.
대책 회의는 ① 엔화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의 농식품 수출 시장 대응 방안과, ② 한․중 FTA 체결을 앞두고 시장문턱이 낮아지는 중국시장의 농식품 수출 확대 방안, ③ 한류 영향으로 농식품 수출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한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 진출방안 등에 대하여 수출 현장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신규 시장개척에 대한 수출 전략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 하였다.
아울러, 전라북도는“2018년 농식품 수출 목표액을 3억불”로 제시하고,
- 제2의 파프리카, 조미김과 같은 수출 전략 제품을 매년 3개 품목(제품)씩 신규로 발굴하고,
- 국가별 거점 바이어를 현재 215개사에서 2018년 250개사로 확대,
- 우리 도 거점 유통매장을 현재 14개국 515개소에서 800개소 이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추
진 전략을 발표하였다.
올해는, 농식품 수출액 2억불 달성을 위해 수출 전략품목 육성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4억원), 해외시장 개척 등 5개 사업에 3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특히, 한․중 FTA 대응 방안으로 대중국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하여 중국 최대 온라인 사이
트인 알리바바를 통한 전북 농식품 매출 확대, 북경 이토요카토 전북도 상설 매장 구축 등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250개소 이상으로 확대하고,
- 엔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선농산물 수출 농가를 위하여 농산물 수출물류비를 22% →
25%로 확대 지원한다고 하였다.
송하진 도지사는 “삼락농정 「제값받는 농업」의 출발은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이룰 수 있다고 말하고, 국가별․ 품목별 맞춤형 수출전략 수립하여,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우리도 농식품을 제값받고 수출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