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전 직장에 재입사하기를 희망해본 적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이직 경험 직장인 1,014명을 대상으로 ‘전 직장 재입사 희망 여부’를 설문한 결과, 38.8%가 ‘희망한 적 있다’라고 답했다.
성별로는 ‘남성’(41.1%)이 ‘여성’(34.7%)보다 재입사를 더 희망하고 있었다.
전 직장에 다시 돌아가고 싶은 이유로는 ‘업무가 더 잘 맞았던 것 같아서’(45.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잘 맞는 동료가 많아서’(25.4%), ‘실력을 제대로 인정받을 것 같아서’(24.4%), ‘전 직장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져서’(15%), ‘현 직장 업무에 잘 적응하지 못해서’(14.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렇다면, 재입사 과정 및 만족도는 어떨까?
재입사를 희망한 적 있는 직장인 10명 중 2명(16.2%)은 실제 전 직장으로 U턴한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이전 직장을 퇴사한 뒤 평균 1년 2개월 만에 재입사했으며, 재입사 경로는 ‘회사에서 먼저 권유’(73.2%)한 경우가 ‘스스로 입사지원’(26.8%)보다 많았다.
하지만, 막상 재입사를 하고도 만족하는 직장인은 많지 않았다. 절반 이상(53.7%)이 본인이 재입사를 한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전 직장을 떠났을 때의 불만이 해소되지 않아서’(52.3%, 복수응답), ‘이직에 실패한 것처럼 보여서’(40.9%), ‘동료들이 불편해해서’(14.8%), ‘이곳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같아서’(14.8%), ‘다시 적응하기 어려워서’(13.6%) 등을 들었다.
또, 다시 재입사 전으로 돌아갈 경우 절반 이상인 63.4%가 ‘재입사를 하지 않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