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
직장인들의 65%가 연차를 반도 쓰지 못하고 있으며, 42%는 연차 때 일을 하거나 출근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 전문포털 파인드잡이 잡서치와 공동으로 현재 근무 중인 직장인 1,08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필수휴가인 연차를 반도 쓰지 못하는 비율이 65.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차를 쓰는 전체 분포로 보면 ‘100%를 다 쓴다’는 비율은 11%에 불과했으며, ‘10% 미만’(42.3%), ‘10~30% 미만’(12.1%), ‘50~70% 미만’(10.7%), ‘30~50% 미만’(9.9%), ‘70~90% 미만’(8.4%), ‘90~100% 미만’(5.7%) 순이었다.
직급별로 보면 연차의 절반도 쓰지 못하는 비율은 ‘관리자급’이 78.3%로 가장 많았고, ‘과장급’(65.8%), ‘대리급’(63.5%), ‘사원급’(61.7%) 순으로 직급과 연차를 쓰는 비율이 반비례했다.
직군별로는 ‘생산/물류직’이 연차의 절반도 못쓰는 근로자가 79.2%로 가장 많았고, ‘관리/지원’(67.2%), ‘영업/마케팅’(66%), ‘연구/개발/기획’(60.1%), ‘서비스’(59%) 순이었다.
또 연차를 냈어도 ‘일을 하거나 급하게 출근한 적이 있다’는 비율이 전체의 41.7%에 달하는 점이 눈에 띈다.
성별로 보면 ‘남자’(49.8%)가 ‘여자’(36.5%)보다 13.3%p 더 높았으며, ‘기혼자’(56.8%)가 ‘미혼자’(37.6%)에 비해 19.2%p나 더 높아 여자보다 남자가, 미혼보다 기혼이 자신의 여유시간을 포기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과장급’이 75.7%로 연차를 일로 반납한 경험이 가장 많았고, ‘관리자급’(65.1%), ‘대리급’(54%), ‘사원급’(34.3%) 순으로 직급이 낮을수록 경험도 적어졌다.
또한 직장인들이 연차 때 하는 일 역시 똑 부러지는 계획이 있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위는 ‘집안일, 은행업무 등 밀린 볼일’을 본다는 응답이 32%로 가장 많았고 ‘TV보거나 잔다’는 응답도 29.2%의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해, 적절한 휴식거리를 찾지 못하는 직장인들의 현실을 보여줬다.
이어 ‘교외로 나들이’(18%), ‘영화, 공연 등 문화활동’(12%), ‘동호회, 취미활동’(5.6%), ‘쇼핑’(2.3%) 순이었다.
직장인들이 연차를 다 쓰지 못하는 이유는 ‘제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서’가 32.4%로 가장 많은 가운데, ‘상사나 동료가 쓰지 않기 때문에 눈치가 보여서’(29.1%)가 2위에 올랐다.
이어 ‘쉴 수 없을 만큼 바빠서’(18.1%), ‘쉬면 왠지 마음이 불안해서’(10.9%) 등의 이유가 이어졌으며, ‘써도 할 일이 없어서 일이나 하려고’라는 응답도 7.1% 있어 일과 삶의 건강한 균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