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
대학생 및 직장인 2명 중 1명은 빚을 갚으려면 연봉이 최소 3천만 원 이상 되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대학생 및 직장인 458명을 대상으로 채무 상태와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다.
먼저 현재 빚이 있는지 묻자 59.8%가 ‘있다’고 답했으며, ‘없다’고 답한 응답자 중 45.1%가 ‘과거에 빚을 진 적이 있다’고 답했다.
과거에 빚을 진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들의 67.5%는 빚의 규모가 500만 원 미만이었고,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미만(21.7%)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6.0%) ▲3천만 원 이상(4.8%) 순이었다. 빚을 지게 된 이유는 학자금 대출이 48.2%로 가장 많았고 ▲생활비가 모자라서(25.3%) ▲집안 문제 때문에 큰 돈이 필요해서(12.0%)가 뒤를 이었다. 빚을 다 갚는 데 걸린 시간은 ▲1년 이내(41.0%) ▲1년 이상 2년 미만(36.1%) ▲3년 이상 5년 미만(10.8%) 순이었으며, 빚을 갚은 방법은 ▲스스로 벌어서 갚았다(63.9%) ▲부모님의 도움을 받았다(34.9%)로 나타났다.
현재 채무가 있다고 답한 사람들의 경우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미만(30.3%)이 가장 많았으며, ▲500만 원 미만(28.8%)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25.2%) ▲3천만 원 이상(15.7%)로 나타나 고른 분포를 보였다.
채무가 있는 이유는 ▲학자금 대출(58.4%) ▲생활비가 모자라서(19.0%) ▲집안 문제 때문에 큰 돈이 필요해서(13.1%)로 과거에 빚을 진 이유와 같은 양상을 보여줬다.
채무가 있는 사람들 중 ‘제1금융권이 아닌 제2, 3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본 경험’을 물어본 결과 ▲대출을 받아본 적이 없다(71.5%) ▲대출을 받아보았다(28.5%)로 조사되었다. 대출 받은 돈의 이율은 ▲0~5%미만(47.4%) ▲5~10%미만(29.2%)로 저금리 대출이 우세했으나 ▲10~20%미만(13.5%) ▲30%이상(5.1%) ▲20~30%미만(4.7%)로 나타나 고금리 대출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몇 년 내 빚을 다 갚는 게 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 묻자 응답자의 38.7%는 1년에서 2년 사이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그 뒤를 ▲3년 이상 5년 미만(23.7%) ▲5년 이상(22.6%) ▲1년 이내(15.0%)라고 답해 짧은 기간 내에 빚을 청산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을 어떻게 갚을 계획인지’를 묻는 질문에 82.8%의 응답자가 ‘스스로 벌어서 갚을 계획이다’라고 답했고, ▲다른 은행이나 기관에서 또 대출을 받을 생각이다 ▲잘 모르겠다는 답이 각각 4.7%로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에게 ‘앞으로 빚을 다 갚으려면 연봉이 어느 정도 되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이에 대한 대답은 ▲3천만 원 이상 5천만 원 미만(52.6%) ▲3천만 원 미만(25.9%) ▲5천만 원 이상 7천만 원 미만(15.3%) ▲1억 원 이상(3.3%) ▲7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2.9%) 순이었다.
다음으로 ‘평소 1, 2금융권의 다른 점이나 예금, 대출 이율 간의 차이를 알고 있었는지’ 묻자 ▲알고 있었다(62.5%) ▲몰랐다(37.5%)로 나타났고, 이어서 ‘금융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빚이 없거나 좀 더 적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묻자 ▲빚은 있어도 좀 더 적었을 것 같다(52.4%) ▲금융에 대해 잘 알았어도 지금만큼 빚을 졌을 것 같다(34.2%) ▲빚이 없었을 것 같다(13.4%)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육과정에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다. ▲금융 교육이 너무 부족하므로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79.8%)는 답이 가장 많았고, ▲잘 모르겠다(11.5%) ▲금융 교육 같은 건 필요 없다(8.7%)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김다슬(28세, 남)씨는 “등록이 부담돼 학자금 대출을 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빚을 갚기 위해 연봉이 최소 3천만 원 이상 되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