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
                                미군이 현지시간 1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미군의 중동 내 군사작전을 총괄 지휘하는 중부사령부(CENTCOM)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은 전날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미국 공군이 보유한 MQ-9 리퍼 무인기(드론)로 촬영한 것.이 영상을 보면 ...
                            
                        
                                보령축제관광재단, 국내 최대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 참가
                                보령축제관광재단은 2025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규모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에 참가하여 홍보마케팅을 추진했다.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는 전시부스 홍보, 비즈니스 상담, 컨퍼런스 및 설명회, 네트워킹 리셉션, 팸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
                            
                        대형 재난 상황에서 한 지역에 밀집된 수백 명의 구조 요원들이 공용 방송 채널을 통해 재난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그룹통신기술(GCSE)’이 공동 개발돼 첫 시연됐다. 
※ 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국제 표준화기구3GPP가 채택한 eMBMS 기술기반의 차세대 그룹통신기술 
※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LTE 무선망을 통하여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규모 사용자에게 일괄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기존의 LTE 방식은 재난현장에 수백 명이 몰릴 경우 원활한 통신이 어려운 반면, 그룹통신기술(GCSE)을 활용하면 동일 주파수로 효율적인 대규모 그룹 통신이 가능하다. 
SK텔레콤(사장 장동현, www.sktelecom.com)은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노키아(사장 라지브 수리, www.nokia.com)와 세계 최초로 상용화 수준의 eMBMS 기반 기지국 통합형 그룹통신기술을 공동 개발·시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그룹통신기술(GCSE)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위치한 노키아연구소에서 시연됐으며, SK텔레콤은 재난안전망 핵심기술로 평가되는 이 기술을 향후 국내외 재난망(PS-LTE)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도 최근 국가재난망 사업을 추진 중이어서, 이번 그룹통신기술의 세계 진출 가능성도 매우 높다는 평가다. 
그룹통신기술은 3GPP표준기반으로 하나의 채널을 통해 일대다(一對多) 방식의 실시간 통화가 가능케한 채널 구조로, 최소한의 망 자원을 활용해 대규모 그룹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양사는 이번 그룹통신기술의 글로벌 표준화와 상호 호환성 확보를 위해 MCE기능을 기지국에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여 경제성과 운용 효율성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 MCE (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 eMBMS서비스 관련 무선 자원 통합 관리 기능 수행 
또한 이번 개발에는 eMBMS 및 PTT(Push to Talk)분야의 특화 기술을 보유한 유엔젤, 사이버텔브릿지 등 국내 우수 중소기업이 공동 참여해 향후 해외시장에도 동반 진출할 전망이다. 
SK텔레콤 김장기 국가안전망TF장은 “재난망 본사업의 핵심 솔루션인 그룹통신기술을 노키아 및 국내 중소기업과 세계 최초로 상용화 수준으로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재난망 사업의 성공적인 완수에 기여하고, 제조사간 호환성 확보는 물론 국내 우수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