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피해 없는 안전한 대구 만든다! - 202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대규모 재난에 대비해 매년 범국가적 총력 재난대응체계를 확립하고자 중앙부처와 시·도, 시·구·군 및 공공기관 등 전국 335개 기관에서 연 1회 실시된다.올해 훈련은 지난 4월 함지산 산불처럼 도심 인근에서 초고속 산불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산불과 그로 인한 다중이용시설(DGIST 학술정보관) ...
대구국제공항의 국제노선 다변화와 지속적인 항공 공급력 확충으로 올해 항공여객 300만명을 조기에 달성하고 국제선 여객이 1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이용객 급증으로 인한 공항 인프라 부족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7일 대구시는 “현재의 대구국제공항이 시설 확충에 한계가 있어 장래의 대구·경북의 항공수요를 충분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통합신공항 건설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대구·경북의 통합신공항 건설이 대선공약으로 채택돼 국가정책에 반영됨으로써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노력을 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올해 3월까지 대구국제공항 이용객이 77만7131명으로 전년도 50만3242명에 비해 54.4% 늘어났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국제선 이용객은 10만552명에서 30만4556명으로 202.9% 늘어났으며 국내선 이용객은 40만2690명에서 47만2575명으로 17.4% 늘어났다.
특히 국제선 이용객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 관광
객 감소로 전국 주요 공항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하는 가운데 대구국제공항은 국제노선 다변화와 공급력 확충에 힘입어 오히려 전국 최고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 동안 공항 여객 규모로는 인천·제주·김포·김해·청주공항에 이어 대구공항 순이었으나 올해 청주공항 이용객을 추월하면서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5대 공항으로 발돋움했다.
대구국제공항의 수용능력은 연간 375만명(국내선 257만명·국제선 118만명)으로 올해 말에는 국제선 여객 수용능력을 초과할 것으로 보이며 국토교통부의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의 2035년 국제선 여객 수요 예측치인 123만명을 연내에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현재의 대구공항 시설 여건으로는 수년 내 여객수용능력, 노선 확충력이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돼 대구시는 통합신공항 건설의 차질 없는 추진과 통합신공항의 규모와 기능을 설정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3년간 대구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전국 공항에서 가장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왔다”며 “장래 국제항공 수요와 세계로 뻗어가는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해 통합신공항 이전에 온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