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동구,‘구민화합한마당 대축제’ 구민과 함께 성황리 마무리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제23회 구민화합한마당 대축제가 10월 25일(토) 오후 1시 30분부터 대왕암공원 일대에서 많은 구민의 참여와 성원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올해 축제는 ‘동구와 함께, 희망을 노래하다. 동구동락 희망동락’을 주제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구민 참여형 축제로 마련돼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축제는 오...

환경부가 물환경 관리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등으로 분산돼 있던 물관리가 환경부로 일원화된 데 따른 것이다.
환경부가 주최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전국의 수질 및 수생태계 조사·분석 인력의 전문성 강화와 전반적인 물환경 관리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엔 유역(지방)환경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 기관 담당자와 전문가 약 250여 명이 참석한다.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 전국의 하천, 호소 등에 운영 중인 물환경측정망은 6600여개다. 올해 경북 안동댐 상류 지역 내 수질·퇴적물 측정망 4개, 전북 용담댐에 수생태계(생물) 측정망 1개, 전국 각지에 방사성 물질 측정망 18개 등이 신설된다. 하구별 수생태계 측정 지점은 기존 336개에서 668개로 확대된다.
환경부는 워크숍에서 수질, 수생태계, 방사성 물질 등 측정망별 지점의 조정과 폐쇄, 현장운영 개선사항 등을 알릴 예정이다.
또 산업폐수 방류수 관리 지표를 기존 수질 오염도를 나타내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에서 탄소화합물을 나타내는 '총유기탄소(TOC)'로 전환하는 방안을 관계 기관과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워크숍 특별강연에선 차윤경 서울시립대 교수가 '고급통계 분석을 통한 물환경측정망 자료의 활용방안'을 발표한다. 발표 내용은 물환경측정망 운영에 따라 축적되는 환경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통계 관리와 향후 물환경 관리정책 활용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