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산후조리원 내 감염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산후조리원 이용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후조리원에서 전염병에 걸리는 신생아와 산모가 2013년 101명에서 2016년 489명으로 4.8배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까지 산후조리원에서 277명의 산모와 신생아가 감됐으며, 로타바이러스 감염 87명, RSV감염 67명, 감기 67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감염이 가장 많았던 질병은 로타바이러스감염으로 138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기(120명), RSV감염(54명), 장염(31명), 기관지염(30명), 뇌수막염(20명) 순이었다.
2013년 557개소였던 산후조리원은 2014년 592개소, 2015년 610개소, 2016년 612개소, 2017년 6월 현재 614개소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6월 현재 지역별로는 경기 187개소, 서울 152개소, 인천 33개소 등 수도권에 60.6%(372개소)의 산후조리원이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현황’에 의하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2주)이 최대 2000만 원(서울 강남구 A산후조리원)에서 최소 70만 원(전북 정읍시 H산후조리원)으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이 가장 싼 산후조리원의 28.6배의 요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서초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2017년 6월 현재 제주 서귀포시(2개소), 서울 송파구, 충남 홍성군, 전남 해남군, 강원 삼척시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 중이며, 공공산후조리원 평균 이용 요금은 174.6만 원으로 나타나, 전국 평균 요금(234만 원)에 비해 60만 원 가량 저렴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후조리원 시도별 평균 이용요금은 서울 314만 원, 경기 234만 원, 대전 231만 원, 울산·충남 227만 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남에 위치한 산후조리원이 가장 저렴한 비용(123만 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인순 의원은 “산후조리원 이용이 늘어나면서, 산후조리원 내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안산에서 로타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산후조리원에서 즉각 신고하지 않는 등 산후조리원에서 감염이 발생할 경우 제대로 신고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산후조리원 내 감염 발생 시 보건소에 즉각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보건당국에서도 정기적으로 산후조리원 종사자 등의 감염성 질환 발생을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남 의원은 “최근 산후조리원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은 천차만별”이라며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평균 234만 원이 들고, 70만 원에서 2000만 원까지 이용요금이 천차만별인데 소비자인 산모가 산후조리원 요금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접 산후조리원에 전화를 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소비자 선택권을 높이기 위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감염병 발병 현황, 시설 현황 등에 대한 정보공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남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의 경우 민간산후조리원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감염관리가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기준에 의하면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할 수 있는 지역은 출생아가 매우 적은 농어촌의 23개 시·군 뿐”이라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은 입소 대기자가 넘치고 있는 상황으로 국민들이 공공산후조리원을 원하는 만큼, 설치요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