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중구,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0월 24일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에서 ‘2025년 구민감사관 역량 강화 공동연수(워크숍)’를 진행했다. 구민감사관의 청렴 의식과 감사 역량을 높이고 행정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동연수(워크숍)에는 구민감사관과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수(...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국립서울현충원의 임시정부 요인 묘역.
광복군 총사령관을 지낸 지청천 장군의 묘를 비롯해, 묘 곳곳에 놓인 형형색색 꽃은 모두 플라스틱 조화다.
서울 현충원이 구매하는 조화 10개 가운데 9개는 플라스틱 제품.
이 때문에 서울 현충원에서만 매년 100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조화가 나온다.
전국 국립묘지로 넓혀 보면 2020년 이후 최근까지 천 톤 넘는 플라스틱 폐조화가 쏟아졌다.
플라스틱 폐조화는 재활용이 어려워 통상 매립이나 소각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온실가스 배출을 늘린다.
야외에 3개월 이상 방치된 플라스틱 조화는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을 뿜어내고, 시간이 지날수록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배출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공원묘지에서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지난해 국회에서 발의됐지만, 아직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