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머니 한글 교실」운영 5개 읍면 65명 교육
`이젠 내 이름 석자를 쓸 수 있어 너무 좋아요' 한글을 제대로 읽고 쓰지 못해 숱한 설움과 아픔을 안고 살아온 소외집단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주는「어머니 한글 교실」이 운영되고 있다. 「어머니 한글 교실」은 화순군(군수 전완준) 생활개선회에서 2007년부터 화순군 사회단체 보조금을 지원받아 한천면, 한계리 1구, 도곡면 신덕리, 북면 수리, 남면 장전리에서 마을회관, 교회 교육관 등에서 한글강사를 초빙하여 6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글을 가르치고 있으며 화순군민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작년부터 주위의 권유로 한글을 배우고 있는 도곡면 신모씨 (78세)는 `글자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숫자도 읽지 못해 버스를 탈 때면 이웃의 도움이 꼭 필요했으나 지금은 이름도 쓸 줄 알고 숫자도 알아 혼자 버스도 타고 선거 때 투표장에서도 자신 있게 기표할 수 있게 되어 정말 좋다'고 말했다. 또한, 북면 수리마을에서는 결혼 이주여성들도 함께 교육에 참여하여 교육의 열기가 더해가고 있으며 한글과 숫자 공부뿐만 아니라 화분 만들기, 천연비누 만들기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여 농촌 농민들에게 새로운 활력소가 되고 있다. 화순군 농업기술센터가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육 참석 동기는 한글과 숫자를 배우기 위함이 82%를 차지하였고 교육을 통해 배우고 싶은 것은 한글과 숫자 49%, 생활원예 18%, 생활공예 13%순으로 응답했다. 한글을 배우고 나서 가장 하고 싶은 일로는 면사무소나 농협에서 본인의 이름과 주소 쓰기 43%, 당당하게 버스타기 25%, 신문.책읽기 24% 순으로 응답하였다. 기타 의견으로, 교육장에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50%)와 읽을 수 있는 책 (25%)이 구비되었으면 한다는 요구도 있었다. 화순군 생활개선회 조영순 회장은 「어머니 한글 교실」통해 한글습득의 기회를 놓쳐 문자해독이 어려운 노인과 이주여성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농업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