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신발전지역 지정…2020년까지 10조 투입해 60만명 자족도시로-
전남 목포,무안,신안 등 서남권 지역이 전국 최초로 신발전지역으로 지정돼 ‘환황해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개발된다. 17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신발전지역 위원회’를 개최해 목포.무안.신안 등 서남권 지역을 전국에서 최초로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하고 서남권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계획을 확정했다. <공간개발 구상> 신발전지역위원회는 ‘신발전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 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재정부장관, 국토부장관 등 관련 부처 장관과 국가균형발전위원장, 해당 도지사 등 정부위원 12명과 민간위원 10명으로 구성됐다. 신발전위가 이날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은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및 그 인접 지역인 해남.영암.진도군 일부로 면적은 1천216㎢이다. 시군별로는 목포 47.9㎢, 무안 436.3㎢, 신안 654.4㎢, 영암 7.9㎢, 해남 54.3㎢, 진도군 15.3㎢ 등이다. 이날 확정된 서남권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계획’에는 ‘환황해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성장거점’이란 발전비전 구현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 소요재원 및 조달 등을 통해 광역적으로 연계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요재원은 9조9천억원 수준으로 정부.지자체 부담 9천억원을 제외한 대부분이 민자(9조원)로 추진된다. 사업별로는 자연.생태자원.역사.문화자원 중심의 복합관광 클러스터 조성에 30개 사업 2조3천억,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6개 사업 2조1천억, 조선산업.청정농업 등 지역특화산업 고도화에 13개 사업 1조2천억, 목포신외항.무안공항 등 서남권 물류거점 육성에 15개 사업 4조1천억원 등이 추진된다. ① 복합관광 클러스터 조성(30개사업/2.3조) ○ 목포권 문화․도시관광기반 조성, 다도해 해양관광 복합레저단지 조성, 건강 휴양 종합테마파크 조성 등 ②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6개사업/2.1조) ○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R&D기반구축,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전용단지 조성 등 ③ 지역 특화산업 고도화(13개사업/1.2조) ○ 중소형 조선사업 혁신 클러스터 구축, 세라믹 종합지원센타 건립, 수출농산물 특화단지 조성, 수산식품산업 거점단지 조성 등 ④ 서남권 물류거점 육성(15개사업/4.1조) ○ 대불 자유무역지역 조기조성, 석재 가공․유통단지 조성, 대양지방산업단지 조성, 한.국제산업단지 조성 등 * 기타 서남권 교육여건 개선사업(1개사업/463억원) 이에 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남권 종합발전구역내의 일부 구역을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발전촉진지구’와 투자를 촉진하고 입주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투자촉진지구’ 등을 지정해 개발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서남권 종합발전계획이 추진되면 2005년 기준 인구 34만명인 서남권은 2020년께 60만명으로 확장되고 산업생산 효과도 5조원에서 23조원으로 5배 가까이 급증하고 고용도 9만명에서 19만명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자족적 중핵도시권으로 거듭나게 된다. 송영종 전남도 투자정책국장은 “서남권 신발전지역은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인구 60만 이상의 자족적 중핵도시로 육성하게 된다”며 “개발이 완료되면 세계박람회로 발전 기틀을 마련하고 있는 여수.광양권과 혁신도시가 조성되는 광주.나주권과 함께 국토 서남부의 신3각 발전축이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내년에 서남권 외 다른 지역도 추가로 1~2지역을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해 지방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하도록 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