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적으로 희망근로 사업의 급여 지급이 시작됨에 따라 급여의 평균 30%정도로 지급된 희망근로 상품권이 수원시내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등으로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다.
'희망근로 상품권'은 지자체에서 시행되는 희망근로 프로젝트(예산 351억원, 투입인원 평균 5,000여명) 참여자 급여의 일부분(30%수준)을 상품권으로 지급하고, 이 상품권을 수원시내의 전통시장과 동네 구멍가게 등 골목상권에서 소비,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 자영업자를 지원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희망근로 상품권은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6개월(6월1일~11월30일) 동안 74억원 정도가 발행될 예정이며, 수원시는 액면가 1만원권만 유통하되 유통기간은 3개월로 제한된다.
한편, 수원시는 상품권 사용처에 대해 임금 지급 전에 해당지역의 희망근로상품권 가맹점을 인쇄하여 배부함으로서 희망근로참여자가 사용처를 몰라서 물건을 구입하지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적극 조치한바 있다.
상품권 가맹점제도는 상품권 사용처(상품권 가맹점 스티커 부착)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상점주와 상품권 사용자 상호간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대책인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가맹점 확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상품권 가맹점을 대폭 확대하는 것은 희망근로 상품권에 대한 영세사업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지름길이기 때문에 '희망근로 상품권 사용처 확대 등 개선안'을 마련해 상품권 사용처 확대, 홈페이지 가맹업소 공개 등 상품권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높이도록 했다.
또한, 7월10일을 희망근로 상품권 사용에 대한 홍보일로 지정해, 희망근로 상품권에 대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골목상권에 홍보전단을 배부하는 등 집중적인 희망근로 상품권 홍보에 나서도록 조치했다.
한편, 앞으로 상품권 사용시 애로사항이나 문의사항이 있으면 시구별 담당부서 연락처(전화번호)를 고지함으로써 상품권 사용현장에서의 문제점 발생시, 공무원이 전화로 해결하도록 조치하고자 희망근로상품권 안내문5500부를 제작 배부한바 있으며 폭발적으로 가맹점 확보를 위해 1만부를 새로 제작해 배부한다.
오광록 수원시 주민생활지원과장은 "희망근로 상품권은 희망근로 참여자와 수원시 지역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영세상인들이 함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인 바, 지역 상인들과 희망근로 참여자의 이해와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고 밝히면서 "희망근로 상품권이 수원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 크다" 고 강조했다.
이미 지난 6월말 임금 지급시 발행된 상품권대금9억6000만원 중 7월6일 현재 상품권대금의 20%가 회수(회수금액 1억9600만원)되어 지역경제 활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