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위치 오산시에 소재…오산시주장에 힘 실어
내년 1월말에 완공예정인 경부선 전철 1호선 병점차량기지역(가칭) 명칭을 두고 화성시와 오산시가 첨예한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삼미역’ 역사명칭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산삼미역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윤한섭·윤세구)는 지난 3일 경기도지사 접견실에서 김 지사와 면담을 갖고 신설될 역사 명칭이 ‘삼미역’으로 지정돼야 할 당위성을 설명하고, 기반시설 설치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삼미역’ 당위성 설명
대책위원회는 “현재 역사 명칭은 국토해양부가 고시한 철도건설사업 시행지침과 한국철도공사 철도역명 및 노선명 관리운영규정상 법정동과 행정동, 자연마을 명칭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숙지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설 역사는 오산시 외삼미동 258에 위치하고 있다”며 “국토해양부 고시와 철도공사 규정에 따라 전통적 지역명인 ‘삼미역’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국토해양부의 철도건설사업 시행지침 등 여러 정황을 살펴볼 때 위원회의 주장처럼 신설될 역사 위치가 오산시에 소재하고 있으므로 오산시에서 주장하는 ‘삼미역’ 명칭은 타당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발언은 역사 명칭을 놓고 지난해부터 화성시와 오산시가 접점을 찾지 못하고 갈등의 골이 깊어가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역사명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될 전망이다.
이는 철도공사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역명을 지정할 때 지역단체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광역단체장의 의견을 참고해야하는 규정이 지난 2월에 신설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오산시 관계자는 “역사의 위치가 오산시에 소재한 만큼 앞으로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반시설과 사후관리 등을 오산시에서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도 역사명칭은 삼미역으로 지정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화성시 관계자는 “병점차량기지역은 화성시 병점기지창 주변의 주민들의 민원으로부터 시작된 사업이고 국토해양부에서 동탄신도시가 신설된 이후에 사업성을 인정해 추진된 만큼 인지도를 고려해 역사명칭이 결정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기반시설 요구사항 전달
기반시설 설치에 대해 대책위원회는 신설역사가 화성오산교육청, 서울대병원. 서울대치대병원, 세교1,2,3지구 등과 인접해 앞으로 약 5만명의 인구가 신설역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족한 기반시설문제를 지적했다.
대책위원회는 “현재계획중인 기반시설도 외삼미동 주민과 인근 기업체 종사자들이 이용하려면 역사 반대편의 농로를 이용해야 하는데 차량교행이 되지 않아 도보로만 이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도보이용시 통로 박스가 250m 이상으로 차량 진입시 사고위험 등 주민피해가 불 보듯 뻔하고 역이 오산에 위치하면서도 오산시민의 이용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대책위원회는 이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역사 진입로 2개소 개설과 22면인 환승주차장은 100면 규모의 2개소 추가확대 설치, 보도육교 설치 등 요구사항에 대해 경기도에서 적극적인 중재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같은 대책위의 요구사항에 대해 김문수 지사는 “기반시설의 설치 필요성에 대해 대책위와 인식을 같이 하고 당사자간의 꾸준한 대화를 통해 역사 준공 전까지 설치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한편 병점차량기지역은 화성시 능동과 오산시 외삼미동 일원 병점차량기지 부지 6807㎡에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연면적 4112㎡)로 진행 중이며, 신설되는 역사 명칭을 놓고 오산시는 ‘삼미역’을, 화성시는 ‘동탄역’ 또는 ‘능동역’ 명명을 각각 주장하고 있다.
신설 역사명칭은 철도공사 역명심의위원회에서 개통 3개월 전까지 결정해 국토해양부가 승인고시하며 이에 앞서 경기도는 오산시와 화성시가 제출한 자료를 8월말까지 역명심의위원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