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388종 화학물질 중 하나 이상을 연간 1톤 또는 10톤 이상 취급한 2,91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지난 '09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12종 135,173천톤의 화학물질이 취급되어 이 가운데 201종 46,989톤이 환경으로 배출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08년 배출량에 비해 1.3% 감소한 것이며, 전년보다 취급량이 4.5% 증가하였음에도오히려 취급량 대비 배출량은 ‘08년 0.037%에서 ’09년 0.035%로 감소하여, ‘04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그 동안 환경부가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 배출저감 정보교류회 등 화학물질의 환경배출을 줄이기 위해 산업계와 함께 다각적으로 노력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자발적협약이 만료된 143개 기업을 최종평가한 결과, 87%가 배출저감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기준년도 대비 배출량을 80%를 저감하여 당초 목표보다 높은 저감률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업장에서 폐수 또는 폐기물로 이동된 화학물질의 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물로의 이동량은 459천톤, 폐수로의 이동량은 69천톤으로, 취급량 대비 이동량은 지난 ‘08년 0.326%에서 ’09년 0.39%로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지난‘09년 배출량조사 결과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일렌, 톨루엔, 메틸알코올 순으로 많이 배출되었고, 상위 10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86.1%를 차지하였다.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10종의 배출량은 519이며, 그중 벤젠, 포름알데히드, 1,3-부타디엔이 배출량의 79.9%를 차지하였다.
전년 대비 1급 발암물질 배출량이 19.2%감소하였으며, 지난 ‘0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등 5개 업종에서 전체 배출량의 70.3%인 33,020톤이 배출되었다.
취급공정이 코팅?열처리 공정이고, 취급형태가 분사및 자연.열처리건조인 조선업종 등 운송장비제조업등은 배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출, 취급 관리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코크스.석유정제업 등은 배출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별로는 대부분 대기로 배출되었고, 131톤이 수계로 배출되었다.
지역별로는 경남, 울산, 경기 순으로 배출량이 많았으며, 경남은 강선건조업에서 다량 배출되었고,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 경기는 사업장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다량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 및 기업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저감 유도를 위해 개별 사업장별로도 배출량을 공개하고 있다.
공개 사업장은 지난 ‘02년부터 ’09년까지 화학물질 배출량 보고를 한 총 4,010개 사업장으로,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대상 388종 중 실제로 환경 중 배출한 237종의 화학물질을 공개하며,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 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물질 배출량을 개별 사업장별로 국민에게 공개함으로써 기업의 화학물질의 배출저감을 위한 환경기술의 개발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보고, 원료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유해화학물질의 사용 및 배출저감을 유도하는 “녹색화학(Green Chemistry)”의 산업계 확산.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조사기준 합리화, 수계 및 토양 배출량 산정방법 개선 등을 통한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제도의 선진화 및 새로운 화학물질 배출저감 프로그램 추진 등 다양한 정책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