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년 끌어온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좌초위기
1997년 입안된 뒤 15년째 끌어온 창원시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
창원시는 지난 7일 열린 제18회 창원시의회 임시회에 제출한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실시협약 변경동의안’이 표결 끝에 부결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지난 1월30일 올해 첫 임시회에도 이 안건을 제출했으나 보류됐다. 일부 시의원들이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을 뚜렷한 마스트플랜도 없이 추진한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인공갯벌’이라는 또 다른 변수가 등장해 마산해양신도시 조성사업 추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당초 지난해 말 의회심의 절차를 마무리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해양신도시 조성에 들어가려던 창원시의 계획이 큰 차질을 빚게 됐다.
현재 공정률 87%로 준공을 눈앞에 둔 마산신항만 용도의 가포지구는 무용지물이 될 실정이다.
가포지구 신항만에 2만t급 이상의 대형 화물선이 드나들기 위해선 항로의 수심을 깊게 하는 준설을 해야 한다. 준설 과정에서 나오는 토사를 투기해 조성될 해양신도시 사업이 시작되지 않으면 마산신항이 무역항의 기능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창원시의 설명이다.
가포지구와 해양신도시 조성사업을 맡은 민간사업자들은 사업 지연에 따른 위기감이 심각하다. 가포지구 조성사업을 맡고 있는 마산아이포트㈜는 지난해 7월부터 은행 대출이 중단된 상태다. 지난해말부터는 대출자금 상환독촉을 받는 실정이다.
이 사업에는 출자금, 차입금, 국고 지원 등 3000억원이 넘게 투입됐고 민간사업자 부담만 1500억원이 넘는다.
마산아이포트㈜ 관계자는 “해양신도시 사업이 지연되면 3000억원 이상이 투입된 민자부두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아주 높아진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해양신도시 조성 사업자인 현대산업개발 측도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비용문제에다 준설토 투기장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사업자는 가포지구와 해양신도시 사업을 포기할 경우 창원시는 3000억원이 넘는 재정 부담을 안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신항만과 해양신도시 어느 것도 얻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이 사업에 대한 환경단체와 야권의 입장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창원시가 지역 여론을 무시하고 옛 마산 원도심의 상권을 몰락시킬 수 있는 복합업무비즈니스 단지를 구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창원시는 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매립부터 해놓고 보자는 식으로 일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송순호 통합진보당 의원은 “신도시가 팽창되면 구도심이 쇠퇴할 것이 불보듯 뻔하다. 도시재생을 추진하고 있는 마산의 특징과 맞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같은 당 문순규 의원 역시 “매립면적을 줄이면 1000억원의 시재정 공사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공용지를 시민들에게 돌려줄 수 있다”며 인공갯벌을 조성하자고 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는 가포지구를 준공해 마산만을 살리기 위해서는 준설토 투기로 조성할 해양신도시 건설사업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창원시 해양사업과 관계자는 “준설토를 해양신도시가 아닌 130㎞ 정도 떨어진 동해 외해에 투기하려면 처리비용만 10배 이상 들어가는데다 처리량도 제한돼 있다”며 “마산신항만 준공을 위해 해양신도시 조성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수천억원이 투입된 사업을 지금와서 보류하자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안맞다”며 “마산의 신성장 동력이 필요하다. 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과 관련해 지역사회의 여론을 수렴해 좋은 안이 나오도록 연구해 시민단체와 시의회를 상대로 설명하는 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해양신도시 건설사업은 당초 마산합포구 가포·월영·월포동 일대(공유수면 포함) 177만4000㎡를 매립해 가포지구 43만3000㎡에 마산신항만과 배후도시를, 서항지구 134만1000여㎡에 해양신도시를 조성하는 내용이었다. 마산만 오염 등을 우려한 환경단체의 반발로 창원시는 서항지구 매립면적을 63만㎡로 축소하고, 공동주택 위주의 개발계획을 복합업무비즈니스단지 조성으로 변경한다는 안건을 시의회에 제출했으나 부결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