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실무전문가가 알려주는 ‘정비사업 아카데미’ 운영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지역 내 정비사업 조합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정비사업 아카데미’를 11월 13일부터 12월 4일까지 총 4주간 운영한다. 이번 아카데미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의 기획부터 준공까지 단계별 실무를 폭넓게 다루며, 주민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포구가 마련한 교육과정이다. 교육은 매주 목...
![]() |
성남시는 여름철 수족구병 유행에 따라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이 집단시설에 손소독제 300개를 추가 지원하는 등 위생관리에 나섰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중원구보건소에 따르면 성남지역 내에서 최근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으로 사망사례는 없으나, 7월 26일 현재 953명이 치료를 받았다.
전국적으로는 2명이 사망하고, 60,039명이 치료를 받았다. 전년 대비 41.4%(24,863명)가 늘어난 수치이다.
수족구병은 3~11세 어린이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입안의 물집과 손·발에 수포성 발진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감염된 사람의 침, 가래, 대변 등 분비물이 오염된 장난감, 수건 등에 의해 전파된다.
감기와 유사한 발열 증세가 보이다가 심한 경우, 무균성 수막염, 뇌염 등 신경계 합병증으로 나타난다.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는 증상(사지위약) 등을 보일 때는 수족구병을 의심하고 반드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중원구보건소 김정기 감염병관리팀장은 “수족구병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사전 예방이 최선”이라며 “손 씻기의 생활화, 장난감 소독 철저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선 지난 6월, 중원구보건소는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375명을 대상으로 손 씻기 교육을 하고, 212개의 손소독제를 어린이집 등에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