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서식하는 개구리로 부터 항생제에 내성을가진 세균을 박멸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진 항생물질이 개발됐다.
서울대 이봉진 교수(약학대)는 한국산 개구리에서 항생효과가 좋고 특히 내성균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항생물질 `펩타이드′를 발견,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핵자기공명법′을 이용해 국내산 청개구리와 참개구리, 옴개구리에서 추출된 펩타이드의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이 구조를 바꿔 항생효과가 우수하고내성균에도 잘듣는 항생물질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해외에서 개구리의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생물질 연구가 활발히 이뤄져 왔으나 기존의 항생물질은 크기가 커서 먹는 약품으로 개발되기 어려웠고대량생산도 어려웠다"면서 "이번 연구성과로 인해 펩타이드의 크기가 축소돼 먹는약물개발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으로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르면 3년이내에 펩타이드 항생물질을 이용해 연고제 형태의 항생제개발이 가능하고 이후 먹는 약품개발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치료에 항생제가 남용되면서 심각해진 내성균를 치료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내에 특허출원중이며 국제특허 출원과 이달중 미국의 저명한학술지 생체화학지에 발표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