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해대책본부는 지난 4-5일 중부.경북지방에 발생한 폭설피해 복구비가 전체 피해액으로 최종집계된 6천734억원보다 많은 총8천827억원으로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대책본부는 지난 11일부터 16일까지 자치단체 자체 조사에 이어 중앙합동조사단이 피해지역에 대한 조사를 마친 뒤 지난 19일 관계부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대책본부회의를 통해 이같이 확정했다.
지역별 복구비 내역에 따르면 충남 4천297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충북 2천271억원, 대전 867억원, 경북 819억원, 전북 등 123억원으로 나타났다.
복구비는 국고에서 3천165억원, 지방비에서 656억원, 융자 등에서 5천6억원이지급될 예정이다.
대책본부는 선지급 후정산 방침에 따라 이미 지급된 복구비에서 남은 2천억원가량이 국고에서 우선 지원되고 나머지는 차례대로 지급 또는 융자지원이 이뤄진다고 밝혔다.
복구비는 23일 국무회의를 거쳐 당일 기획예산처에서 곧바로 집행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복구현황을 보면 비닐하우스는 복구대상 2천221㏊중 1천932㏊(87.0%),인삼재배사는 4천642㏊중 3천529㏊(76.0%), 축사는 6천911동중 6천793동(76.2%)이복구됐다.
대책본부는 또 중앙합동조사를 통해 전국의 폭설피해액도 총 6천734억원으로 확정했으며, 사유시설 피해액은 6천620억원, 공공시설은 114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고밝혔다.
이는 2001년 1월7일부터 사흘간 내린 폭설로 과거 최대폭설피해로 기록된 6천590억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남 3천529억원, 충북 1천918억원, 대전 670억원, 전북 등 617억원이다.
이재민은 7천117가구에 2만5천145명으로 집계됐다.
- TAG
-